산업경제팀 김하은 기자

[미래경제 김하은 기자] 소상공인의 카드수수료 부담을 없애기 위해 정부가 야심차게 내놓은 간편결제 시스템인 '제로(zero)페이'가 정작 시장과 은행권에선 시큰둥한 반응이다.

지난 20일부터 서울과 부산·경남에서 제로페이 시범사업이 시작됐지만, 이를 도입한 가맹점은 3만개 남짓이다. 전체 가맹점 중 5%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수수료 부담이 없어 영세 자영업자들이 앞다퉈 제로페이를 도입할 것이라고 생각한 정부의 오산이다.

내년 초부터 시행될 카드수수료 인하 제도로 연매출 5억~10억원 이하의 소상공인들은 세금 환급 혜택으로 신용카드 수수료 부담을 덜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삼성페이에 이어 간편결제 확대를 꾀하고 있는 카카오페이 역시 수수료 부담이 없기는 마찬가지다.

즉, 자영업자들이 굳이 수수료 감면 혜택을 받기 위해 제로페이를 도입할 이유가 전혀 없는, 한 마디로 실효성이 '제로'인 셈이다.

은행권의 반응도 미미하다. 가입절차가 번거로움은 물론, 각 은행별 결제 방식이 달라 이용 고객이 적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현재 제로페이가 가능한 은행은 신한·KB국민·우리·IBK기업·NH농협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을 포함한 20여개에 달한다.

그러나 각 은행마다 제로페이 이름과 결제 방식, 가입 절차가 제각각이라 일관성이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기존 은행 앱이 아닌 별도의 제로페이용 앱을 따로 다운 받아야 하니 소비자 입장에선 번거롭기 그지없다.

장점으로 내세우기엔 2% 부족한 수수료 감면 혜택과 이중, 삼중으로 손이 가는 복잡한 결제 방식때문에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 구미가 당기지 않을 제로페이가 시장에서 도태될 것은 시간문제다.

제로페이가 타 간편결제 앱과 나란히 시장에서 존재해야만 하는 설득력을 얻기 위해선 실효성을 갖춰야 하는 것이 먼저일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하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