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일부선 정규직 전환 오히려 부담"…증권, "영업 실적에 따른 보수 원해"

여의도 금융가 (사진=뉴스1)

[미래경제 박시형 기자] 문재인 정부의 핵심 공약인 '일자리 창출'이 공공부문에서 구체화되는 가운데 금융권에서는 '비정규직 제로' 정책을 일괄 적용하는데 무리가 따른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 신한, 우리, 농협 등 시중은행들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각종 계획들을 내놨다.

KB국민은행은 다음달 우수취업 박람회를 개최하고, 현장에서 구인·구직이 이뤄질 경우 해당 기업에 고용인원 1명당 50만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우리은행은 희망퇴직을 통해 발생한 인건비 여유분 중 일정 비율을 일자리 창출에 쓰겠다는 방침이다.

우리은행은 상반기 300여명의 희망퇴직을 받았는데, 하반기 희망퇴직을 한 차례 더 실시하고 신입행원 숫자를 늘린다는 계획을 세웠다.

신한은행은 최근 사무인력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앞으로도 정규직으로 신규채용 한다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현재 신한은행 내 사무 인력은 100여명 정도인데 만 2년을 군무한 직원들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정규직으로 전환되고 있다.

농협은행도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숫자를 늘리기로 했다.

은행권의 이런 발빠른 행보에 대해 일부에서는 불만이 제기된다.

이미 비정규직 상당수를 정규직으로 전환했고, 남아있는 비정규직 직원들은 계속 비정규직으로 남아있길 원한다는 것이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젊은 비정규직 직원들은 정규직으로 전환돼 안정을 찾길 원하지만 오랫동안 비정규직으로 근무해온 직원들은 오히려 부담스러워 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정규직 직원으로 근무하면서 비교적 자유로왔던 영업 실적 압박이나 근무 시간 등이 정규직 전환으로 인해 받아들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판에 따라 일부 은행은 정규직 전환을 위한 의견청취를 진행중이다.

증권업계는 더 심각하다.

업무적 특성상 성과에 따른 보수지급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고, 이직 또한 잦아 정규직으로 채용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특히 지난 5년간 증권시장의 침체로 영업점 축소 등 업권 전체가 다운사이징 하면서 일자리 수가 8000개나 줄어들어버렸다. 정규직으로 전환할 여력이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다만 노동계에서는 직원들의 정규직 전환으로 안정적으로 업무를 볼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금융권 노조 관계자는 "전화 응대를 하는 텔레마케터나 창구 직원인 텔러 등 고객과 직접 맞닿아있는 직군들이 주로 비정규직으로 채용된다"며 "이들이 정규직으로 전환할 경우 안정적으로 업무에 임할 수 있어 소비자들, 나아가서는 금융권 전체로 보더라도 훨씬 이익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시형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