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오션’으로 ‘경쟁 과열’ 등 실적 악화…치킨집·편의점보다 많은 9만여개

망고식스 매장 전경. (사진=KH컴퍼니)

[미래경제 김대희 기자] 커피전문점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상황은 그리 좋지 만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문을 닫는 점포가 늘면서 경영난이 심각해지고 있다.

최근 카페 ‘할리스’ ‘카페베네’ 최근 ‘망고식스’ 등 국내 토종커피 브랜드를 연이어 히트시키며 유명 커피프랜차이즈의 성공을 이끌었던 강훈 KH컴퍼니 대표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커피왕’으로 불릴 정도로 커피업계의 마이다스의 손으로 통했던지라 프랜차이즈업계의 과열 경쟁 등 문제점들이 다시금 수면위로 떠올랐다.

‘커피공화국’이라고 할 정도로 국내 커피전문점은 이미 치킨집이나 편의점 수를 추월했다. 업계에서는 이미 포화상태며 레드오션으로 불리고 있지만 지속적으로 늘면서 또 문을 닫는 등이 반복되고 있다.

25일 업계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따르면 커피전문점은 올해 3월 기준 9만809개에 달했다. 지난 2014년 말(5만5416개)과 비교하면 2년 3개월여 만에 63.9% 늘었다. 서울의 경우 커피전문점이 1만8000여개나 됐다. 편의점(9477개)과 치킨집(7468개)을 합친 수보다 더 많다.

주요 유명 커피전문점 매장만 더해도 6000개를 훌쩍 넘는다. 이디야커피는 지난해 9월 이미 매장 수가 2000개를 돌파했다. 스타벅스도 1050개 매장을 넘어섰으며 투썸플레이스(854개)와 엔젤리너스(799)·카페베네(640개)·할리스커피(487개)·파스쿠찌(441)·탐앤탐스(429개) 등 주요 커피프랜차이즈 매장을 합치면 6700여개다.

커피전문점을 창업하고자 하는 열기도 여전하다. 국세청이 발표한 생활밀접업종 현황에 따르면 4월 기준 전국의 커피음료점 사업자는 3만9856명이다. 지난해 4월(3만3431명)보다 19.2%(6425명)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40개 생활밀접업종 사업자 수 증가율인 3.3%의 6배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커피전문점이 늘어나면서 생존경쟁도 치열하다. 인기가 많은 곳은 장사가 잘됐지만 나머지 커피전문점은 문을 닫는 곳도 많다.

서울시의 ‘2014년 자영업자 업종지도’에 따르면 커피전문점 생존율은 1년차 76.9%로 줄었다. 2년차가 되면 55.8%로 낮아졌고 3년차 때는 47.4%였다. 커피전문점을 연 절반이 2년 이내에 문을 닫는 셈이다.

국세청이 조사한 올 2월 기준 전국 카페 월평균 매출액도 1370만원으로 전체 업종(3782만원)의 36.2%에 불과하다. 음식점 전체(2124만원)나 한식(2116만원)·중식(2203) 등과 비교해도 낮은 편이다.

스타벅스커피 코리아의 '콜드브루'를 마시는 고객들. (사진=뉴스1)

이 같은 가맹점주의 타격은 가맹본부로 이어졌다. 실제 카페베네는 실적 악화로 완전 자본잠식에 빠져 자본총계가 마이너스 148억원이다. 탐앤탐스도 어렵긴 마찬가지로 지난해 영업이익이 24억원에 불과하다. 앞서 할리스커피는 경영악화로 사모펀드인 IMM PE로 주인이 바뀐 후 매각을 추진 중이다.

반면 스타벅스는 매출 1000억원을 돌파했고 투썸플레이스도 디저트 케이크 인기에 힘입어 성장하고 있다.

커피프랜차이즈들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데 힘쓰고 있는데 선호 브랜드가 되면 충성 고객 확보는 물론 매장 확대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故 강훈 대표의 ‘망고식스’도 비슷한 전략을 쓰며 2010년에는 KH컴퍼니를 세우고 이듬해 망고식스라는 브랜드를 선보였다. 망고를 내세워 차별화하고 광고선전비와 판매촉진비를 통해 브랜드를 알렸다.

KH컴퍼니가 공시하기 시작한 2014년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당시 광고선전비(10억5000만원)와 판매촉진비(1억원)는 11억5000만원 수준이다. 당시 영업이익(5억7000만원)의 2배가 넘는 돈을 사용했다.

지난해에도 매출은 106억원으로 1년 전(194억원)보다 절반 가까이 줄었는데 판매촉진비는 2억5000만원에서 4억5000만원으로 더 늘렸다. 광고선전비만 줄었다. 강 대표는 이외에도 지난해 4월에는 ‘커피식스’ ‘쥬스식스’ 등을 운영하는 KJ마케팅을 인수하며 투자를 확대했다.

하지만 투자가 효과를 보지 못하면서 KH컴퍼니는 영업손실이 2015년 10억2000만원, 지난해 11억4000만원을 기록했다. 이 과정에서도 강 대표는 ‘디센트’라는 새 브랜드를 시작하는 등 신규 브랜드 론칭과 가맹점 수 늘리기에 나서 경영전략이 한계에 봉착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결국 지난 18일 서울회생법원에 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했다.

이처럼 손실이 커지면서 강 대표는 최근 KH컴퍼니 직원들에게 임금을 지급하지 못할 정도로 경영난에 시달린 것으로 알려졌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대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