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영 산업경제팀 차장
한우영 산업경제팀 차장

[미래경제 한우영 기자] 전세계적으로 탄소중립이 화두가 되며 완성차 업계가 전기차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최근 국내에선 전기차 판매가 급감하며 브레이크가 걸리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국내 전기차 보급 대수는 지난달 50만5971대에 이르렀다. 2019년까진 9만여대 그쳤던 전기차는 작년 누적 40만대를 넘어섰고 올해 50만대를 돌파했다.

하지만 몇 년새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였던 국내 전기차 시장은 올해 들어 크게 주춤하고 있다.

실제 올해 1~8월 전기승용차 보급 대수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감소했다.

서울시의 경우 올해 1만3688대 전기승용차에 보조금을 지급한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이달 11일까지 보조금을 받아 간 차는 4840대에 그치며 절반에도 못 미치고 있다.

전기차 인기가 예전만 하지 못한 이유로는 인프라 부족과 함께 살 사람들은 대부분 구매했고 매년 보조금이 감소한 점이 거론된다. 

2019년 전기차 대당 최대 900만원이었던 국고보조금은 해마다 줄어 올해는 최대 680만원으로 축소됐다. 같은 가격의 전기차라면 실제 구매가는 4년 만에 220만원 높아진 셈이다.

정부는 부랴부랴 국내 전기차 수요를 견인하기 위해 보조금을 늘려 다음 주에 구체적인 내용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단순히 보조금을 높인다고 해도 전기차 수요가 늘어날 진 미지수다. 소비자는 물론 전문가들이 꼽는 전기차 시장의 활성화의 핵심은 충전 인프라이기 때문이다. 

전기차 구매를 고민하는 소비자들의 가장 큰 걸림돌은 충전 인프라로 꼽힌다. 배터리 용량 증가로 운행거리가 늘었다곤 하지만 장거리 운전에 아직까지 전기차 운행은 어렵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일반 내연차와는 달리 충전 시간이 다소 걸린다는 점 여전히 부족한 충전소는 전기차 시장 확대를 가로막는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힌다.   

넷제로 달성을 위해선 전기차 시장 확대가 필수인 만큼 정부의 지출만 늘리는 보조금 확대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충전인프라 확대를 위한 규제 완화와 제도적 보완이 먼저 필요하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우영 산업팀 차장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