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희 산업경제팀 차장.
김대희 산업경제팀 차장.

[미래경제 김대희 기자] 은행 점포의 통·폐합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코로나19로 인한 상권의 변화가 은행 점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유동인구가 크게 줄어든 지역 상권의 경우 영업점별 고객 접근성이 떨어지고 지점 수익성 악화로 이어지면서 점포 폐쇄 대상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디지털 금융에 소외된 고령층과 장애인 등에 대한 특별한 대안이 없다는 점이다. 오프라인 지점을 활용하는데 익숙한 소외계층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이 폐쇄하거나 통합한 점포는 251개에 달했다. 같은 해 8월 금융감독원에 보고한 연간 폐쇄 점포 계획 222곳을 넘어선 수치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98곳으로 가장 많은 은행 점포가 문을 닫았다. 전국 단위 인구가 가장 많은 경기 지역에서는 62곳의 영업점이 문을 닫았고 ▲부산 17곳 ▲경북 12곳 ▲경남 12곳 ▲대구 9곳 순이었다. 가장 적게 줄어든 지역은 전북과 세종으로 각각 1곳이다.

은행 지점 폐쇄는 지역 내 상권이 쇠퇴하거나 경제성이 떨어진 곳에서 주로 진행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이 최근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1년 10월까지 폐쇄된 국내 은행 점포는 총 1507곳에 달했다.

연도별로 보면 2016년 273곳, 2017년 420곳, 2018년 115곳, 2019년 135곳, 2020년 332곳, 2021년 1∼10월 238곳 순이었다.

2016∼2020년 5년간 국내 은행별 점포 폐쇄 현황을 살펴보면 하나은행(304곳), KB국민은행(225곳), 우리은행(165곳), 신한은행(136곳) 등 4대 시중은행이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씨티은행(91곳), NH농협은행(79곳), SC제일은행(66곳), 부산은행(50곳), IBK기업은행(42곳) 순이었다.

특히 수도권에 점포 폐쇄가 집중됐다. 시도별로 보면 서울 515개(40.4%), 경기도 245개(19.2%) 등 수도권에서 폐쇄된 은행 점포 수가 전체의 약 60%였다.

이어 부산 98개(7.7%), 대구 74개(5.8%), 경남 54개(4.2%), 인천 51개(4.0%) 순이었다. 올해도 은행 점포 통폐합은 더욱 가속화될 예정이다.

이처럼 은행권이 점포 운영 효율화 명목으로 1년에 점포를 수백개씩 폐쇄하는 사이 현실성 있는 대안 마련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디지털금융에 익숙지 않은 고령층·농어민·장애인 등의 은행 업무는 갈수록 힘들어지고 있다. 현금자동입출금기(ATM) 마저 빠르게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명확한 대안과 구체적인 추진 계획이 시급하다는 생각이다.

최근 신한은행은 서울시 노원구 소재 월계동 지점을 폐점하고 인근 장위동 지점으로 통합하려던 계획을 최근 철회했다. 디지털기기에 익숙지 않은 고령층 등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면서 물러서게 됐다.

이 같은 은행 지점 폐쇄는 지역 주민 뿐 아니라 은행 내부의 불만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대해 은행들은 디지털금융의 전환과 비용 절감 등 비대면 금융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지점 축소는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은행권의 무분별한 점포 폐쇄를 막기 위해 ‘은행 점포폐쇄 관련 공동절차’를 마련하고 폐쇄 전 사전영향평가 등을 의무화 했지만 형식적 절차일 뿐 대안을 마련하지는 못하고 있다.

은행권에서는 올해부터 고령층 ATM 사용 수수료 면제, 화상 서비스 및 편의점 내 기기를 통한 은행 서비스 확대 등 소비자불편 해소 방안을 마련 중이지만 지점 폐쇄의 대안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결국 점포 축소 및 ATM 감소는 현금 입출금 통로의 감소로 이어져 현금이용자와 고령층의 불편은 더 커질 수밖에 없기에 금융당국과 은행권에서는 이에 대한 적절한 대안을 먼저 마련하는 게 우선이지 않을까 한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대희 금융 부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키워드

Tags #칼럼 #은행 #점포폐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