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도 지원 정책 없이 정부 지원 요구만…군산 지역 경제 불안감 가중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 결정이 내려진 13일 전북 군산시 한국지엠 군산공장 정문이 굳게 닫혀 있다. (사진=뉴스1)

[미래경제 한우영 기자] 한국GM이 13일 군산공장 폐쇄를 결정한 가운데 미국 GM측이 추가적인 생산라인 폐쇄 가능성을 시사했다. 일각에서는 한국 정부와 산업은행의 지원을 최대한 얻어내기 위해 GM이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댄 앰먼 GM 사장은 12일(현지 시간) 로이터에 "시간이 없다. 모두가 긴급하게 움직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GM의 한국 공장 투자 여부는 한국 정부의 자금 조달 의지와 인센티브 제공, 노조의 임금 삭감 여부 등에 달려 있다"고 덧붙였다. 앰먼 사장은 군산 외 나머지 영업장(부평1·2, 창원공장)에 대해서도 "한국 정부, 노조와 협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주 내 미래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GM은 정부가 지원해주면 한국GM 공장에 연간 생산량 20만 대 규모의 신차를 배정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GM이 2월 말을 시한으로 자금 지원 요청을 공식화하고 공장 폐쇄를 발표한 것도 이 때문으로 보인다. 지방선거가 4개월 앞으로 다가온 민감한 시점이란 점도 계산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GM은 군산공장 폐쇄 외에 자구책을 명확하게 공개하지 않고 있다. 한국GM은 13일 "노조와 한국 정부 및 주요 주주 등 이해 관계자들에게 한국에서 사업을 유지하고 경영을 정상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했으며, 계획 실행을 위해서는 모든 당사자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만 밝혔다.

반면 노조는 사측으로부터 구체적인 계획을 듣지 못했다고 반박하고 있다. 노조 측은 “8일 진행된 노사 교섭에서도 회사가 어렵다는 내용만 반복했을 뿐 비전 제시는 없었다”고 말했다. 정부에 도와달라고 요청만 했을 뿐 자구 노력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비난이 나올 수밖에 없다.

이런 가운데 GM은 군산공장 근로자 약 2000여명에 대한 퇴직은 물론 부평공장 등 나머지 3개 공장 직원에 대해서도 희망퇴직을 받을 예정이다.

GM은 2013년부터 이익이 나지 않는 공장과 해외 지사는 냉정하게 떠난다는 방침을 고수해 왔다. 2014년 호주 정부의 보조금이 끊기자 철수를 발표했다. 호주 정부는 2003년부터 2014년까지 12년간 GM 호주법인에 무려 21억7000만 달러(약 2조3500억 원)에 달하는 정부 보조금을 지급했다.

군산 지역은 한국GM 군산공장 폐쇄로 지역경제가 회생 불가능한 나락으로 떨어지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 7월에도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가 일감 부족을 견디지 못하고 문을 닫았다. 

큰 사업장이 없는 전북에서 한국GM 군산공장이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다. 2011년 전북 전체 수출량의 30.4%를 차지했고 군산시 수출량의 절반을 넘기도 했다. 가동률이 크게 떨어진 최근까지 군산 전체 고용 인력의 10%를 차지하고 있다. 군산공장과 연계된 협력업체 소속 근로자만 1만700여명에 이른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우영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