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영 산업경제부문 기자

[미래경제 한우영 기자] 지난 6일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특위 청문회에서 가장 뜨거운 감자가 된 것은 바로 기업의 정경유착이었다.

이번 최순실 사태에 핵심 사안 중 하나인 미르‧K스포츠 재단 출연에 적극적으로 나선 전경련의 경우 정경유착의 원인으로 끊임없이 지적돼 왔다.

이날 청문회에 참석한 9개 그룹의 경우 모두 전경련 회원사 인데다가 특혜관련 의혹을 받고 있다.

일부 총수들은 "국내에서 기업을 운영하는 입장에선 정부의 요청을 거절하기 어렵다"며 재단 출연에 대한 반 강압성에 대해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매번 바뀌는 정부에 기업들이 눈치를 보는 동안 정경유착의 고리는 더욱 단단해 지고 있다.

기업 입장에선 정부의 요청을 거절하기 힘들다는 점에서 자신들이 피해자라고 주장하지만 사실상 그들도 암묵적으로 정경유착의 빌미를 제공했다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번 최순실 사태는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을 수 있는 큰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번 청문회를 통해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등은 전경련 탈퇴 의사를 공식화하기도 했다.

한때 전경련이 기업들을 대변하는 입장에서 정부와의 소통창구 역할을 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소통창구의 의미가 기업의 특혜를 바라는 단체로 변질된 상황에서 존재 가치는 사라진지 오래다.

물론 전경련의 해체로 정경유착이 완전히 사라 질수는 없다. 하지만 재계 상위 그룹의 소신 있는 행동은 향후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는 초석이 될 것이라는 점은 분명히 알아야 한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우영 산업경제부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