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손충당금 적립 비율’ 은행과 비교해 낮아…“대책방안 강구해야”

국내 보험사에서 대출을 받은 대출자 3명 중 1명은 '다중채무자'로 잠재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국내 보험사에서 대출을 받은 대출자 3명 중 1명은 '다중채무자'로 잠재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미래경제 김대희 기자] 금융권의 대출 부실이 지속된 문제로 떠오르는 가운데 국내 보험사에서 대출받은 3명 중 1명은 3개 이상의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로 잠재부실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석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난 17일 ‘국내 보험사 대출채권의 잠재 위험 요인 점검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선임연구위원이 코리아크레딧뷰로(KCB) 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차주 수 기준으로 보험사의 다중채무자 비중은 32.1%를 기록했다. 다중채무자는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사람으로 고금리에 부실 가능성이 큰 취약 차주로 분류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보험사 다중채무자 비중은 저축은행(38.3%), 카드사(33.7%)보다는 낮으나 은행(10.4%), 캐피탈(28.7%), 상호금융(14.8%)의 각각 3.1배, 1.1배, 2.2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험사 다중채무자의 경우 1인당 평균 대출잔액이 약 4300만원으로 제2금융권 중 상호금융(7500만원) 다음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그 외 업권의 다중채무 차주 평균 대출잔액은 은행 5100만원, 저축은행 2000만원, 캐피탈 1600만원, 카드사 1000만원 등이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다중채무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부채의 규모가 크고 채무변제 등을 통한 신용 회복률이 낮아 부실 가능성뿐 아니라 연쇄 부실이 초래될 가능성 역시 크다”고 우려했다.

특히 보험업권의 경우 채무 불이행자의 신용 회복률이 38.1%로, 은행(43.8%), 상호금융(57.7%) 등에 비해 낮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보험사의 부실채권 금액은 8500억원, 자본총액은 168조원으로 집계됐다.

자본총액 대비 부실채권 비율은 0.5%로, 제2금융권(저축은행 40.93%, 상호금융 29.46%, 여신전문금융사 7.95%)뿐 아니라 은행(4.21%)보다도 낮았다.

반면 보험사의 대출채권 부실에 대한 손실흡수능력을 나타내는 ‘고정이하여신 대비 대손충당금 적립 비율’은 지난해 9월 말 기준 생명보험사가 158.1%, 손해보험사가 89.2%로 나타났다.

은행(215.3%)과 비교하면 크게 낮은 편으로 특히 일부 중소형 손해보험사의 경우 70%에도 못 미쳐 이에 대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보험사의 대출채권 건전성 지표는 아직 양호하지만 안심할 상황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며 “가계대출 차주 중 다중채무자, 저신용등급 층, 저소득층 등 취약 차주 비중이 작지 않은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보험사는 보험계약이 실효·해약 처리될 경우 수익성에 부정적일 수 있다”며 “고금리 기조, 부동산 경기 둔화가 이어지면 보험사 대출채권의 잠재 위험 요인들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대책방안 강구를 강조했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대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