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총생산 대비 가계 부채 비율 1위…가계부채 비율 하락폭 세계 2위
기업부채 비율 4위·증가속도 5위로 ‘부실 위험’ 우려

기업대출. [CG=연합뉴스] ⓜ
기업대출. [CG=연합뉴스] ⓜ

[미래경제 김대희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 빚(부채)이 세계 각국의 경제 규모를 고려할 때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크게 하락하며 거품이 감소했지만 기업 부채의 경우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급증해 여전한 금융위기의 우려를 보였다.

최근 국제금융협회(IIF)의 세계 부채(Global Debt)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4분기 기준으로 세계 34개 나라(유로 지역은 단일 통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을 조사한 결과 한국(100.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홍콩(93.3%)·태국(91.6%)·영국(78.5%)·미국(72.8%)이 2∼5위를 차지했다.

우리나라는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2020년 이래 거의 4년째 ‘세계 최대 가계부채 국가’라는 불명예를 달고 있다. 무엇보다 여전히 조사 대상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가계 부채가 GDP를 웃돌았다.

다만 이번 조사 결과에서 1년 전과 비교해 한국 가계부채 비율의 내림 폭(-4.4%p·104.5→100.1%)이 영국(-4.6%p·83.1→78.5%)에 이어 두 번째로 크다는 점이 눈에 띈다. 비율이 정점이었던 2022년 1분기(105.5%)보다는 5.4%p나 낮아졌다.

이런 추세로 미뤄 올해 GDP 성장률이 한국은행의 전망(2.1%)대로 2%를 웃돌고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이 목표(1.5∼2.0%) 안에서 관리된다면 가계부채 비율은 올해 중 100%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한국 가계부채 비율은 2020년 3분기(100.5%) 100%를 넘어선 뒤 약 4년 만에 처음으로 90%대를 형성하게 된다.

연초 은행권의 자체적 금리 인상 및 부동산 시장 침체 등 가계대출 증가세도 다소 안정되면서 ‘가계부채 100%’ 아래로 내려 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28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696조371억원으로 지난 1월 말(695조3143억원)보다 7228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5월 이후 10개월 연속 증가세지만 월간 증가 폭이 1월(+2조9049억원)보다 크게 줄어 지난해 6월(+6332억원) 이후 8개월 만에 최소 수준을 나타냈다.

금융 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압박에 따라 KB·신한·우리 등 시중은행들이 최근 대출 금리를 올린 데다 지난달 26일부터 은행들이 일제히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정을 적용하면서 대출 한도까지 줄어든 만큼 당분간 가계대출이 급증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기업 빚의 경우 지속적으로 빠르게 늘고 있어 또 다른 우려를 보이고 있다.

작년 4분기 기준 한국의 GDP 대비 비(非)금융기업 부채 비율(125.2%)은 네 번째로 높았는데 한국을 웃도는 나라는 홍콩(258.0%)과 중국(166.5%), 싱가포르(130.6%)뿐이다.

더구나 우리나라 기업 부채 비율은 1년 전인 2022년 4분기(121.0%)보다 4.2%p 더 증가했다.

러시아(8.4%p·72.9→81.3%)·사우디아라비아(8.2%p·55.6→63.8%)·중국(7.7%p·155.8→166.5%)·인도(7.0%p·53.7→60.7%)에 이어 5위 수준의 오름폭이다.

한은의 지난해 12월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한은이 집계한 작년 3분기 말 GDP 대비 민간 신용(자금순환통계상 가계·기업 부채 합) 비율(227.0%)은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다.

하지만 가계신용과 기업신용을 따로 보면 가계(101.4%)는 직전분기(101.7%)보다 0.3%p 낮아졌지만 기업(125.6%)이 운전자금 수요와 은행 대출태도 완화 등의 영향으로 1.6%p 높아졌다.

한국 정부 부문 부채의 GDP 대비 비율(45.1%)은 22위로 중하위권 수준이었다.

경제 규모와 비교해 정부 부채가 가장 많은 나라는 일본(229.9%)이었고 싱가포르(173.1%)·미국(119.9%)·아르헨티나(91.1%)가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 정부 부채의 증가 속도는 중상위권에 속했는데 1년 전인 2022년 4분기(44.4%)와 비교해 증가 폭(0.7%p)이 미국(3.1%p·8위)보다 작고 러시아(0.6%p·19위)보다는 큰 16위 수준을 보였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대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