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총파업 때도 2조원 피해 발생해  
주유소 곳곳 기름 품절 사태…철강·석유화학 피해 눈덩이

화물연대 총파업. [CG=연합뉴스] ⓜ
화물연대 총파업. [CG=연합뉴스] ⓜ

[미래경제 한우영 기자]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의 총파업에 돌입한 지 일주일째 가 지나면서 산업계 전반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정부가 지난 29일 시멘트 운송사업자와 화물차주에 업무개시명령을 내렸지만 집단운송거부가 이어 지면서 철강‧석유화학 등 산업전반의 누적 피해 규모만 1조원이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 화물연대 파업의 영향으로 유류제품 수송이 지연돼 품절된 주유소가 전국에 총 21개소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정유공장, 저유소 등 주요 거점별 입·출하 현황을 모니터링해 수송 차질이 우려되는 경우 화물연대 미가입 차량 등을 활용한 비상수송체계를 가동할 예정이다.

탱크로리(유조차)가 멈춰서면서 주유소의 석유제품 재고는 급감하고 있는 상태다. 대한석유협회는 탱크로리 기사의 화물연대 가입률이 전국 약 70%, 수도권 90% 이상으로 추정하고 있다.

대한석유협회는 사전 주문이나 재고 비축 등을 통해 대응하고 있지만, 파업이 장기화하면 석유제품 수급 차질이 심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화물연대 총파업 일주일째인 30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한송유관공사 서울지사 앞 도로에 파업에 참여하며 멈춰 선 유조차 옆으로 유조차가 오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화물연대 총파업 일주일째인 30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한송유관공사 서울지사 앞 도로에 파업에 참여하며 멈춰 선 유조차 옆으로 유조차가 오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이미 업무개시명령이 들어간 시멘트업계는 출하율이 10% 미만으로 떨어졌다. 하루 평균 180억여원의 매출 이연 손실이 발생해, 피해 규모가 약 800억원에 달하는 상황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전날 오후 5시 기준 시멘트는 평시 대비 11%(2.1만t)가량만 운송됐으며 이로 인해 레미콘은 시멘트 재고 부족으로 평시 대비 8% 생산에 그쳤다. 46개 건설사 역시 전날 절반이 훌쩍 넘는 59%(577곳) 현장서 레미콘 타설이 중단됐다.

상황이 더 심각한 철강업계는 물류 차질로 전날까지 60만t의 제품을 출하하지 못해 1t당 130만원을 고려하면 7800억원의 매출 손실이 발생했다고 한국철강협회는 밝혔다.

석유화학업계도 하루 평균 출하량의 30% 수준만 반출되면서 매일 680억원의 피해가 발생, 현재 누적 1300억원을 넘어섰다. 석유화학산업이 멈추면 하루 평균 피해 규모는 3000억원으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아 광주 오토랜드 공장의 경우 생산한 완성차를 매일 하루 2000여 대씩 임시번호판을 달거나 임시운행허가증을 발급받아 인근 적치장으로 한 대씩 옮기는 개별 탁송을 하고 있다. 탁송 업무를 위해 하루에 500∼700명이 동원되는데, 이들 일당은 평균 15만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파업이 장기화할수록 완성차업계의 손실이 누적되는 구조다.

수출입 환적화물 처리가 지연돼 쌓여가는 컨테이너 화물차주의 피해도 커질 전망이다. 컨테이너 화물차주는 2만5000명 규모로 시멘트(2500~2800명) 업종의 10배 수준이다.

화물연대 파업 후 물류 현황. / 자료:국토교통부, 한국시멘트협회. [그래픽=연합뉴스]
화물연대 파업 후 물류 현황. / 자료:국토교통부, 한국시멘트협회. [그래픽=연합뉴스]

문제는 정부와 화물연대의 협상도 좀처럼 진전이 없다는 점이다. 

국토교통부와 화물연대는 30일 오후 2시께 정부세종청사에서 2차 면담을 했다. 지난 28일 면담에 이어 이틀만이자, 시멘트 운수종사자에 대한 업무개시명령 발동이 내려진 지 하루 만에 이뤄진 공식 대화다.

양 측은 40분가량 대화를 나섰지만, 기존 입장만 반복하며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2차 면담도 성과 없이 종료되고 정부가 시멘트 외 철강, 정유 등 다른 분야로까지의 운송개시명령을 확대를 검토하는 등 압박 수준을 높이고 있어서 대화를 통한 사태 해결은 당분간 이뤄지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앞서 8일간 지속됐던 화물연대의 지난 6월 파업의 피해액이 2조원(정부 추산)에 달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총 파업에 따른 피해액도 이와 비슷한 수준이나 이를 상회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우영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