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직격탄 속 정부지원 없이는 면세산업 무너져
제3자 반송·내수판매 전면허용…내국민 한시적 면세쇼핑도 제안

전세계적인 코로나19로 하늘길이 막히면서 매출이 급감한 면세점들이 정부지원책 연장을 요구하고 있다. / 22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 면세구역 모습. [사진=연합뉴스] ⓜ
전세계적인 코로나19로 하늘길이 막히면서 매출이 급감한 면세점들이 정부지원책 연장을 요구하고 있다. / 22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 면세구역 모습. [사진=연합뉴스] ⓜ

[미래경제 김대희 기자] 코로나19가 지속되면서 면세업계의 어려움도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 지원책이 이달 말 종료를 앞두고 있지만 연장 여부가 나오지 않아 근심이 커지고 있다.

코로나19 위기 속 정부 지원책이 큰 힘이 됐던 만큼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면세업계에서는 정부 지원이 끊기면 면세산업 전체가 위태로워지며 세계 1위 자리까지 흔들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27일 한국면세점협회에 따르면 국내 면세점 매출은 코로나19 여파가 광범위하게 확산된 지난 4월 9800억원으로 바닥을 찍은 후 꾸준히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2019년의 월 매출(2조원대)과 비교하면 반토막에 불과하지만 중국 보따리상(따이궁)들의 활약으로 5월 1조원을 회복한데 이어 6월 1조1130억원, 7월 1조2021억원, 8월 1조4441억원으로 선방하고 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회복의 신호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시각이다. 정상적인 사업환경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코로나19 종식이 먼저 선언되야하기에 시장 불안정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면세업계의 위기감은 ‘황금알’로 불렸던 인천공항 면세점 입찰이 세 차례나 유찰되면서 ‘낙동강 오리알’로 추락한 모습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동안 면세점들은 시내면세점에서 벌어들인 수익으로 공항면세점의 적자를 메워왔다. 공항면세점은 높은 임대료로 인해 수익을 낼 수 없는 구조지만 상징성 하나만으로 충분히 매력적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어려움이 커지면서 예전과 같은 임대료 부담을 떠안을 수 없다는 것이 업계의 판단이다.

지난해 매달 2000억원대의 매출을 냈던 인천공항 면세점은 코로나 이후인 지난 6월에는 237억원에 그치면서 무려 90% 감소를 보였다.

이에 정부가 제3자 국외 반송, 한시적 내수 판매 등을 포함한 지원책을 펼쳐 면세점의 ‘숨통’을 터줬다. 수차례 서버 다운을 불러왔던 온라인 명품 판매나 아울렛에서의 명풍 판매 등은 현금 유동성 확보라는 측면에서 면세점에 큰 힘을 실어줬다.

롯데·신라·신세계면세점은 지난 6월 기준으로 재고자산을 4700억원 가량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청의 예상(약 1600억원)을 크게 뛰어넘는 수준이다.

제주지역 면세점. (신라, 롯데). [CG=연합뉴스] ⓜ
제주지역 면세점. (신라, 롯데). [CG=연합뉴스] ⓜ

소비자들에게 인기 있는 재고가 거의 소진된 상황이라 최근에는 제3자 반송의 중요도가 한층 높아졌다. 제3자 반송은 입국하지 않은 해외 면세사업자에게 국내 업체가 물품을 보내주는 제도다.

따이궁들이 입국하지 않아도 면세점 구입이 가능해지면서 면세점 매출 상승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했다.

이에 면세업계는 29일 종료되는 제3자 반송 및 내수 판매의 연장 또는 전면 허용을 비롯해 정부의 추가 지원책이 나와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중에 내국인 면세한도인 600달러 범위 내에서 한시적으로 면세쇼핑을 허용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일종의 ‘가불제’ 개념으로 이미 싱가포르와 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시행하고 있다.

면세업계는 면세쇼핑 허용이 불가능할 경우 해외 직구와 같이 150달러 한도 내에서 온라인 구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세계 1위의 위상을 가진 한국 면세산업이 더 이상 무너지지 않도록 정책당국이 현실적인 대책을 진지하게 고민하고 마련해줬으면 하는 바람을 전했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대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