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단가 비싼 신재생 전력 의무구입비율 늘어나는 탓

올해 상반기 저유가로 반짝 흑자를 기록했던 한국전력이 4년뒤 손실 2조원 대로 다시 적자전환 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 한국전력 서초지사. [사진=연합뉴스] ⓜ
올해 상반기 저유가로 반짝 흑자를 기록했던 한국전력이 4년뒤 손실 2조원 대로 다시 적자전환 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 한국전력 서초지사. [사진=연합뉴스] ⓜ

[미래경제 한우영 기자] 올해 상반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여파와 석유 공급 과잉에 따른 저유가로 인해 8000억원대 반짝 흑자를 기록했던 한전이 4년 뒤 다시 적자전환을 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윤영석 국민의힘 의원이 공개한 한전의 '2020~2024년 중장기 재무관리 계획'에 따르면 올해 한전 당기순이익(별도 재무제표 기준)은 8998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유가가 급락한 영향이다. 한전은 유가 급락으로 인한 흑자가 2022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한전은 유가가 다시 오르는 2023년부터 1조2320억원에 달하는 당기순손실을 볼 것으로 예상했다. 2024년에는 당기순손실 폭이 2조741억원으로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전의 적자가 4~5년 뒤 폭증하는 이유로는 정부의 탈원전과 태양광발전 등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정책이 꼽힌다. 올해 상반기 기준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은 ㎾h당 89.9원으로 원전 전력 단가(56.2원)의 약 1.6배다.

한국전력이 소규모 태양광·풍력발전 사업자로부터 전기를 사들이는 데 쓰는 신재생의무공급(RPS) 및 탄소배출권 비용이 빠르게 늘어나는 것도 재무상태를 악화시키는 요인이다.

한전의 RPS와 탄소배출권 구입 비용은 올해 2조9000억원에서 내년 3조4641억원, 2022년 3조8461억원, 2023년 4조3324억원, 2024년 5조400억원으로 급증할 전망이다.

한국전력 탈원전‧태양광 적자에 4년뒤 손실 2조. [사진=연합뉴스]
한국전력 탈원전‧태양광 적자에 4년뒤 손실 2조. [사진=연합뉴스]

2012년 도입한 RPS는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활용을 늘리기 위한 제도다. 신재생에너지법에 따라 한전의 발전 자회사 등 대규모 발전사업자는 총발전량의 일정 비율만큼을 신재생에너지로 채우고, 자체 생산량이 부족하면 소규모 사업자로부터 구매해 의무량을 메꿔야 한다. 한전은 발전사들이 지출한 비용을 보전해준다.

RPS로 인한 한전의 부담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정부가 대형 발전사의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 비율을 꾸준히 늘려 왔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 비율을 2023년부터 10% 이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우영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