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기업, 국내 인재 영입에 과감한 투자…OLED보다 낸드·D램 기술 유출 위험성 커

삼성전자 중국 시안 공장. (사진=삼성전자 제공)

[미래경제 김하은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LG디스플레이의 해외 현지 공장 설립 승인을 놓고 줄다리기를 하는 가운데, 삼성디스플레이와 상이한 규정을 적용해 '이중잣대'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29일 산업부는 중국에 기술이 유출될 수 있다는 이유로 지난 7월 말 LG디스플레이가 제출한 공장 건설 계획 승인을 현재까지 보류 중이다. OLED는 국가핵심기술로 해외에 공장을 지으려면 산업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산업기술보호위원회의 승인을 거쳐야 한다.

반면 중국과 베트남 등지에 낸드플래시, 모바일용 OLED 공장을 세운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 등에 대해서는 비교적 완화한 규제를 적용했다. 현재 삼성전자는 중국 내 최대 규모의 3D 낸드플래시 공장 투자를 진행 중에 있는데, 이 과정에서 삼성은 정부 승인이 아니라 신고 절차만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산업부는 "OLED의 경우 승인이 필요하지만 낸드와 D램은 제품 사양에 따라 승인이 아니라 신고만 하면 가능하다"고 해명했다.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내부. (사진=삼성전자 제공)

○ OLED보다 낸드플래시, D램에 엄격한 규정 적용해야

그러나 관련업계에선 핵심 기술 유출의 위험성을 고려하면 OLED보다 낸드플래시, D램에 훨씬 더 엄격한 규제를 적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중국의 경우 자국 반도체 기업들이 한국의 D램, 낸드 기술을 빼가기 위해 조직적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출신 인력을 꾸준히 영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중국 반도체 기업들은 국내 인재를 대상으로 기존 연봉의 3~10배를 제시하는 한편, 주택·차량은 물론 자녀 교육 등의 파격적인 복지를 내세우는 등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이 같은 업계 우려에도 정부가 OLED 공장 설립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면서 해외 메모리 반도체 공장 설립에 관대한 규정을 적용하는 것은 좀처럼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다. 삼성디스플레이가 베트남에 설립한 모바일용 OLED 모듈 공장 역시 기술 유출 우려가 큰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OLED 디스플레이 생산공정에 무지하다"면서 "메모리 반도체의 핵심 공정과 노하우가 중국에 노출될 경우 국내 산업경제는 하락세를 면치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하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