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 정권마다 몸살…'취임 2년' 권오준 회장 최대 위기

▲ (왼쪽부터) 이구택 회장, 정준양 회장, 권오준 회장. (사진=포스코, 뉴스1)

정권 교체기 마다 검찰 수사 및 세무조사로 홍역을 치른 포스코 그룹이 이번엔 비자금 조성 의혹으로 검찰수사를 받으면서 또다시 악몽이 재연될까 노심초사 하고 있다.

16일 검찰과 재계에 따르면 검찰은 포스코건설의 비자금 조성 경위를 확인하기 위해 정준양 전 회장을 비롯해 당시 비자금 조성에 관여한 전현직 임직원 10여명에 대해 출국금지 조치를 내렸다.

관련 업계에선 검찰이 수사대상으로 전현직 경영진을 겨냥한 만큼 이번 수사가 포스코그룹 전반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는 반응이다.

그동안 포스코는 새 정부가 출범할 때마다 경영진이 외압 논란을 겪으면서 대거 교체됐고, 교체 때마다 검찰수사와 세무조사로 몸살을 앓았다.

초대 박태준 회장은 김영삼 대통령과의 정치적 갈등으로 대선 직후인 1992년 말 회장직에서 퇴진해 일본 망명길에 올랐다. 박 회장 이후 황경로·정명식·김만제 회장 등이 취임했으나 역시 임기를 마치지 못했다.

김대중정부 출범 한 달 뒤인 1998년 3월 취임한 유상부 회장은 노무현정부 출범 한 달 만인 2003년 3월 자진사퇴 형식으로 자리에서 물러났다.

유 회장에 이어 취임한 이구택 회장은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지 1년 만인 2009년 임기 1년을 남기고 중도 퇴임했다. 당시 이 회장은 세무조사 무마를 위해 로비를 벌였다는 의혹을 받았다.

이 회장의 바통을 넘겨받은 정준양 회장도 2013년 11월 임기가 1년 넘게 남은 시점에서 사퇴했다. 의 낙마였는데, 사퇴 2개월 전 세무 당국은 포스코에 대한 대대적인 특별 세무조사를 벌였다.

취임 2년 차를 맞은 권오준 회장도 연이은 악재로 최대 위기에 봉착했다. 권 회장은 지난해 취임 이후 철강 본원경쟁력을 강조하며 비주력 계열사를 정리하는 등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시작했다.

그 결과 70여개에 달했던 계열사는 지난해 연말 기준 47개로 줄었다. 부채 비율 역시 2009년 54.5%에서 2011년 92.4%까지 증가했다가 지난해 말 기준 80%대로 하락했다.

하지만 이번 검찰 수사의 원인이 된 포스코건설 비리 사실을 자체 감사 결과 보고 받았음에도 솜방망이 처벌을 해 책임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포스코건설의 비자금 조성의혹과 함께 최근 역외 탈세 혐의를 받고 있는 포스코P&S의 검찰 수사도 진행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권 회장의 경영정상화 작업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

(미래경제 / 한우영 기자)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우영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