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어드는 주거 선택지…공급 축소에 전월세 상승

서울 아파트 전경. [자료사진=연합뉴스] ⓜ
서울 시내 아파트 전경. [사진=연합뉴스] ⓜ

[미래경제 한우영 기자] 지난해 인허가를 받은 주택 10가구 중 9가구가 아파트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단독주택·다세대·연립 등 다양한 형태의 주거 선택지가 갈수록 줄어들고, 아파트 쏠림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

19일 국토교통부 주택건설실적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 인허가 물량 38만8천891가구 중 아파트는 34만2291가구로 88.0%를 차지했다.

단독주택(다가구 포함) 인허가가 3만1815호로 8.2%, 다세대주택은 8887호로 2.3%, 연립주택은 5898호로 1.5%였다.

주택 인허가 물량 중 아파트 비중은 2022년 82.0%에서 6.0%포인트 높아졌다. 이는 2011년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후 최대 상승 폭이다.

2013년 63.3%였던 아파트 비중은 10년 만에 90%에 육박하는 수준이 됐다.

아파트 비중은 2017년(71.6%) 처음으로 70%대를 넘어섰고, 5년 만인 2022년(82.0%)엔 80%대를 넘겼다.

그러는 동안 다세대·다가구·연립과 단독주택은 점점 쪼그라들었다.

인허가 물량 중 다세대 비중은 2012년 20.4%였으나, 2013년 18.4%, 2014년 15.9% 등으로 계속해서 줄었다. 2019년(9.1%)에는 비중이 한 자릿수가 됐고, 지난해 2.3%까지 낮아졌다.

연립 비중은 2∼3%대를 유지했으나 지난해 처음으로 1%대로 축소됐다.

비아파트 중심의 민간 임대주택 시장이 흔들리면서 그만큼 아파트 쏠림 현상이 심해진 셈이다.

특히 최근 몇 년새 전국적으로 발생한 전세사기 사태로 아파트 선호현상은 더욱 심화됐다.

문제는 비아파트가 필요한 만큼 공급되지 않으면 아파트로 수요가 몰리고, 아파트 전셋값뿐 아니라 매매가격까지 오르는 악순환이 지속될 수 있다.

이에 따른 피해를 보는 건 결국 더 많은 주거비용을 부담해야 하고, 내 집 마련 기간이 길어지는 청년·서민층이다.

정부가 비아파트 공급을 활성화하기 위해 오피스텔, 빌라 등 신축 소형주택을 구입하면 취득세·양도세·종합부동산세 산정 때 주택 수에서 제외하는 혜택을 내놓았지만, 시장은 아직 잠잠하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우영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키워드

Tags #아파트 #주택 인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