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상반기에만 1061억원 만기 도래…부동산 시장 침체에 손실 우려 커져

5대 시중은행. [PG=연합뉴스] ⓜ
5대 시중은행. [PG=연합뉴스] ⓜ

[미래경제 김대희 기자] 전 세계적인 부동산 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국내 은행들이 판매한 해외 부동산 펀드도 대규모 원금 손실 위험이 우려되고 있다.

내년 상반기 중 만기가 도래하는 펀드 규모만 1000억원대에 달하는 만큼 부동산 경기가 침체에서 풀려 반등하지 않는다면 무더기 손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해외 부동산 펀드 판매 잔액은 총 7531억원으로 집계됐다.

만기 없는 리츠 펀드 외에 해외 부동산 펀드를 판매하지 않은 농협은행을 제외하면 은행별로 최소 1000억원 이상의 판매 잔액을 보유했다.

이 중 내년 상반기 도래 규모는 1061억원으로 하반기에는 이보다 더 많은 1510억원어치 펀드의 만기가 돌아올 예정이다.

해외 부동산 펀드는 투자금을 모아 해외 상업용 부동산 지분을 취득하거나 소유권을 확보한 뒤 임대 수입으로 배당금을 지급하고 만기 도래 전 자산을 매각해 최종 수익을 내는 방식으로 운용한다.

만일 부동산을 사들인 가격보다 파는 가격이 더 낮게 되면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시장 침체로 매각 자체가 안 되면서 일명 ‘물리는’ 경우도 있을 수 있어 손해는 더욱 커지게 된다.

가장 큰 문제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재택근무 확산에 따른 오피스 공실 증가와 고금리에 따른 부동산 투자 수요 감소 등으로 글로벌 부동산 시장이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당초 6~7%의 수익률을 목표로 했던 펀드들이 현시점에서는 원금은 커녕 손실마저 우려해야 하는 상황이다.

은행권에서는 부동산 감정평가액이 떨어진 상황에서 만기 연장이나 리파이낸싱에 실패할 수 있어 저가 매각 시 펀드 손실이 우려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금리가 오르면서 상업용 부동산 가치가 떨어져 애초 투자했던 금액보다 가치가 떨어졌고 부동산 매각도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으로 어려움을 나타냈다.

반면 은행들이 판매한 해외 부동산 펀드보다 증권사 등 다른 경로로 판매된 잔액이 훨씬 크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 부동산 대체 투자 규모는 55조8000억원에 달했다.

금융당국은 해외 부동산 투자 손실이 시스템 리스크를 유발할 정도는 아니지만 개별 회사의 건전성 위험을 초래할 수는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지난 11일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 회의에서 금융감독원에 “(해외 부동산 펀드의) 손실 가능성과 각 금융회사의 대응 상황을 밀착 모니터링해달라”고 주문한 바 있다.

무엇보다 홍콩H지수를 기초로 한 주가연계증권(ELS)의 대규모 손실 우려로 커질 논란에 대비해야 하는 은행들은 내년에 다가올 해외 부동산 펀드 관련 리스크에도 촉각을 곤두세우며 대응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대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