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국내 합작법인 잇달아 설립…지분 인수 가능성 고려해야

한국 배터리. [PG=연합뉴스] ⓜ
한국 배터리. [PG=연합뉴스] ⓜ

[미래경제 한우영 기자] 미국 정부가 지난 1일(현지시간) 중국 자본에 대한 세부지침 담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발표하면서 국내 배터리 업계가 비상에 걸렸다. 

4일 외신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는 중국 측 지분율이 25% 이상인 합작사를 ‘해외우려기업(FEOC)’으로 지정하고, IRA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한다는 방침을 공개했다. FEOC의 배터리 부품은 내년부터, 핵심광물은 2025년부터 보조금을 받을 수 없다. 세부안은 미 재무부의 의견수렴(45일) 후 확정된다.

이에 국내 배터리 기업들은 비상에 걸렸다. K-배터리 업계는 올해 들어 잇달아 중국과 합작회사를 설립하는 등 중국 업체들과 협력을 확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여전히 배터리의 핵심 광물 대부분을 중국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중국과의 합작법인은 필수불가결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코발트 생산 세계 1위인 중국 화유코발트와 지난 8월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합작법인을 설립한 바 있다. SK온은 에코프로머티리얼즈와 함께 중국 배터리 소재 업체 거린메이(GEM)와 총 1조2100억원 규모의 전구체 공장을 설립 추진 중인데, 중국 측 지분이 50%다.

포스코퓨처엠이 중국 CNGR과 추진 중인 전구체 합작법인의 경우 중국 측 지분이 80%에 달한다. 포스코홀딩스도 CNGR과 손잡고 경북 포항에 니켈 정제공장을 짓기로 했는데 중국 측 지분은 40%다. 이밖에 LG화학이 화유코발트와 합작해 1조2000억원을 들여 연산 10만t 규모의 전구체 공장을 새만금에 짓기로 하는 등 중국과 합작은 활발한 추세였다.

하지만 IRA 규정이 강화되면서 보조금 혜택을 받으려면 투자 지분 조정에 나설 수밖에 없게 된다. 국내 업체들로선 지분 매입이나 추가 출자 등에 나서야 하는데, 이러면 최대 수천억원이 추가로 투입해야 하는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발표가 미국이 배터리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겠다는 뜻을 명확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배터리 핵심 광물 공급망에서 중국의 비중은 여전히 압도적이다. 글로벌 메탈·광산 시장조사업체 CRU의 집계를 보면 동력 배터리 제조용 광물에 대한 중국의 점유율은 흑연 70%, 망간 95%, 코발트 73%, 리튬 67%, 니켈 63% 등이다.

배터리 핵심 광물은 중국뿐 아니라 남미 등 다른 지역에서도 생산되므로 산지 다변화는 가능하지만, 배터리 소재 생산을 위해 광물을 제련하는 분야에서는 중국이 절대적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우영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키워드

Tags #IRA #배터리 #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