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0.25%p 오르면 이자 3.2조 불어…올해 1∼2회 추가 인상 전망

높은 가계대출 이자. [PG=연합뉴스] ⓜ
높은 가계대출 이자. [PG=연합뉴스] ⓜ

[미래경제 김대희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14일 기준금리를 작년 8월 이후 5개월만에 연속으로 추가 인상하면서 기준금리가 0.75% 상승해 1.25%까지 올라섰다.

이에 따라 대출금리가 기준금리 인상 폭만큼만 올라도 대출자의 이자 부담은 눈덩이처럼 불어 10조원 가까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더욱이 향후 추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은만큼 다중채무자나 20·30세대 등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금리 상승에 따른 소비 위축 등 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기준금리가 높아지면 결국 금융기관이 소비자에게 적용하는 금리도 올라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은의 ‘가계신용(빚)’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844조9000억원으로 이 가운데 카드 사용액(판매신용)을 제외한 가계대출만 1744조7000억원에 이른다.

아울러 같은 달 기준 예금은행 가계대출 전체 잔액 가운데 74.9%가 변동금리 대출로 조사됐다.

은행 외 금융기관의 변동금리 비중도 같다고 가정하면 산술적으로 대출금리가 기준금리와 마찬가지로 0.25%포인트 오를 경우 대출자의 이자 부담은 3조2670억원(1744조7000억원×74.9%×0.25%)이나 불어나는 셈이다.

지난해 8월 금통위가 사상 최저 수준(0.5%)까지 낮아진 기준금리를 15개월 만에 처음 0.25%포인트 올렸고 같은 해 11월 25일과 이날 다시 0.25%포인트씩 추가로 인상한 만큼 5개월간 늘어난 이자만 9조8000억원(3조2670억원×3) 가량으로 추산된다.

한은도 기준금리가 각 0.25%포인트, 0.5%포인트 인상될 경우 가계의 연간 이자 부담이 2020년 말과 비교해 각각 3조2000억원, 6조4000억원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한은에 따르면 대출자 1인당 연이자 부담도 289만6000원에서 각각 305만8000원, 321만9000원으로 16만1000원, 32만2000원 뛴다는 설명이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추산하면 0.75%포인트 인상에 따른 1인당 이자 부담 증가액은 48만3000원 정도로 예상된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가계와 기업의 채무상환 부담, 금융기관의 복원력 변화 등을 살펴본 결과 가계, 기업, 금융기관이 감내 가능한 수준”이라며 “다중채무자 등 취약차주의 타격이 상대적으로 클 것”이라고 우려했다.

은행은 통상적으로 기준금리가 오르면 인상분을 예금금리에는 바로 반영하고 코픽스(COFIX)나 은행채 등 지표금리를 따르는 대출금리의 경우 시장금리를 반영해 서서히 올린다.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자 이자 얼마나 느나. 자료/한국은행. [그래픽=연합뉴스]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자 이자 얼마나 느나. 자료/한국은행. [그래픽=연합뉴스]

2020년 3∼5월 한은이 코로나19 충격을 고려해 두 달 만에 기준금리를 0.75%포인트(1.25→0.50%)나 크게 낮추자 같은 해 7월께 은행권에서는 ‘1%대’ 신용대출 금리까지 등장했지만 이후 대출금리는 경기회복과 인플레이션(물가상승) 기대 등의 영향으로 치솟았다.

다만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압박 속에 개별 은행이 우대금리 축소, 가산금리 확대 등을 통해 대출금리를 시장금리 상승 폭 이상으로 올린 영향도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작년 말 기준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연 3.710∼5.070% 수준으로 2020년 말(2.520∼4.054%)과 비교해 1년 새 하단과 상단이 1.190%포인트, 1.016%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형) 금리도 연 2.690∼4.200%에서 3.600∼4.978%로 올랐다. 최저 금리가 0.910%포인트 뛰었고 최고 금리도 0.778%포인트 높아졌다.

신용대출 금리의 경우 지난해 말 현재 3.500∼4.720%(1등급·1년)가 적용된다. 마찬가지로 1년 전(2.650∼3.760%)보다 하단이 0.850%포인트, 상단이 0.960%포인트 올랐다.

이날 기준금리 0.25%포인트 추가 인상에 이어 올해 한 두 차례 더 기준금리가 오르면 대출 금리 상승 속도도 가팔라지며 연중 6%대를 넘어설 가능성까지 우려되고 있다.

한편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연 1.25%로 인상된 현 기준금리 수준이 실물경제 상황에 견줘 여전히 완화적인 수준이라고 밝혀 추가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대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관련기사

키워드

Tags #기준금리 #이자 #대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