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경제팀 한우영 기자
산업경제팀 한우영 기자

[미래경제 한우영 기자] 국내 최대 원양 컨테이너선사인  HMM이 창사 이래 첫 파업 위기에 놓였다. 

노사 간 임금단체협약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한 가운데 노조는 이번만큼은 파업도 불사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이다. 자칫 파업으로 이어질 경우 국내 기업들의 수출 물류대란이 불거질 수 있는 급박한 상황이다. 

HMM 노조는 2011년부터 8년간의 임금 동결과 사상 최대 실적을 이유로 25%의 임금 인상을 요구 중이다.

지난 2010년 이후 극심한 불황을 겪었던 HMM은 해상운임 급등 등에 힘입어 지난해 1조 원에 가까운 영업이익을 올렸고, 올해 1분기에도 사상 최대 실적인 1조193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사측은 주채권은행이자 최대주주(24.9%)인 산업은행의 눈치를 보며 난감한 표정을 짓고 있다.

사측은 육상노조와의 4차 교섭에서 연봉 5.5% 인상과 월 기본급 100%에 해당하는 격려금을 제시했지만, 노조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먼저 임단협에 나섰던 육상노조는 이미 4차례의 협상이 결렬돼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을 신청한 상태다. 사측과 지난달 28일까지 4차례에 걸쳐 협상을 진행했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해 노조 투표를 거쳐 지난달 30일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을 신청했다. 19일까지 조정안이 도출되지 못해 ‘조정중지’ 결정이 나오면 노조는 합법적으로 파업을 할 수 있다.

문제는 이번 사태의 책임을 누구한테 물어야 하는 지다. HMM은 2018년 10월부터 채권단 공동관리 체제로 운영되고 있는데 협상테이블엔 사측이 나서지만 실질적인 최종 결정권은 채권단이 가지고 있다. 

하지만 채권단이자 HMM의 지분 24.9%를 보유한 최대주주 산업은행이 공적자금 투입을 이유로 임금 인상에 대한 부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동안 정부와 산업은행은 노사 문제에 관여하는 것은 어렵다는 태도를 보였지만,HMM 파업이 국내 경제에 미칠 영향까지 고려한다면 결코 지켜볼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최악의 물류 대란을 막기 위해 산업은행의 책임 있는 자세가 어느 때보다 요구된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우영 산업경제부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키워드

Tags #HMM #입단협 #산업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