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경제팀 한우영 기자
산업경제팀 한우영 기자

[미래경제 한우영 기자] 국내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발생한지 3개월이 지난 가운데 추가 확진자수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어느덧 진정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하지만 1분기 사실상 멈춰 있던 경제 활동에 타격을 입은 기업들의 위기는 본격화 되고 있다.

이번주 기업들의 1분기 기업 실적이 속속 발표되고 있는 가운데 자동차‧철강 등 코로나 쇼크로 인한 실적 악화가 수치로 나타나고 있다.

상황은 더욱 좋지 않다. 국내 확진자 수가 소강상태라 하더라도 뒤늦게 북미와 유럽으로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전세계적인 소비 위축에 따른 수출 감소는 불가피 할 전망이다. 수출 의존도가 큰 기간산업들의 경우 2분기가 진짜 위기라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기업들은 서둘러 현금 자산 매각에 나서며 유동성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는 한편, 임직원의 급여 반납 등 허리띠 졸라매기에도 나서고 있다.

정부도 40조원의 자금을 투입해 국내 기간산업에 대한 지원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특히 이번 지원에는 대기업의 지원안도 포함돼 있다는 점은 다소 긍정적인 부분이다.

다만 자금 지원 외에 다른 위기 대응이 없다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가 닥쳤을 때 우리 정부는 국무총리실을 중심으로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규제 개혁 과제 280개를 발굴해 한시적 규제 유예 등을 시행하며 빠르게 위기를 벗어날 수 있었다.

최근 한국경제연구원도 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해 '규제 개혁과 세제(稅制) 개선을 통한 기업 투자 활성화'가 첫 번째 과제로 이뤄져야 한다고 제안한 바 있다.

기업 입장에서도 단순 자금 지원 보다 규제 개혁과 세제 개선 등 추가 지원 방안도 함께 나오는 것이 코로나 위기를 빠르게 벗어 날 수 있는 방법으로 꼽고 있다.

경제 위기에 대한 정책 대응은 위기진화-경기부양-경제체질 개선 단계로 추진된다. 기업들의 타격이 본격화 되면서 정부의 발빠른 대응이 어느 때 보다 중요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우영 산업경제부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