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경제팀 김석 기자.

박근혜 대통령하면 떠오르는 것은 바로 창조경제다.

다만 집권 초기부터 창조경제를 강조했지만 이를 둘러싼 해석은 여전히 분분하다. 집권 3년차를 맞고 있는 현재까지 창조경제를 그 누구도 명쾌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뜻 해석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최근 기업과 지역산학연관의 화두는 바로 창조경제혁신센터다. 지역별 특성에 맞춰 창조적 새 먹거리를 발굴해 우리나라 경제 체질을 바꾸자는 취지의 이 사업은 전국에서 우후죽순 생기고 있다.

이미 상당 지역은 창조경제혁신센터를 구성했다. 또한 상당 지역은 올해 하반기까지 구성해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출범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앞다툰 출시(?)경쟁에 6개월 뒤에 설립 예정을 마치 출범 된 양 자료를 만들어 기자들에게 배포하는 경우가 있다.

정부는 이같은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전국 17개 지역에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문제는 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에 경쟁이 불다 보니 실속은 없는 빈 껍질인 경우가 많다는 것.

특히 개념도 잡히지 않는 상황에서 막상 어떤 일을 해야 할 지도 갈피를 못 잡고 있는 상황이다.

A기업 관계자는 “대통령이 직접 나서며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고 하는데 정부 눈치를 볼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라며 “아직 개념이 모호하지만 만들어 놓으면 무언가는 하지 않겠느냐”라고 난감함을 표시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얼마나 유명한 대기업을 파트너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출범하는지가 중요한 수단으로 전락되고 있기도 하다. 이는 삼성과 SK 등 대기업과 손 잡은 곳은 이미 박 대통령이 다녀온 것만 봐도 알 수가 있다.

기업들도 준비 없이 뛰어들다 보니 상당수 대기업들이 창조경제혁신센터에 들어가는 예산과 인력을 사회공헌에서 끌어다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기업 B사 관계자는 “현재 창조센터에 들어가는 예산은 CSR(사회공헌)팀 자금”이라며 “연구개발(R&D) 성격도 아니어서 회사 내에 자금을 집행할 부서가 마땅치 않았다”고 설명했다.

C사 관계자 역시 “창조센터의 성격이 아직 불분명한 상황에서 어떤 자금을 사용해야 할 지 내부적으로 고민이 많다”면서 “올해 예산배정 과정에서 '지원'으로 논의돼 사회공헌예산을 사용케 된 것”어려움을 토로했다.

결국 요란하게 시작한 창조경제센터가 사회공헌 프로그램으로 끝날 수 있음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섣뿌른 예단이지만 박 대통령이 임기를 마치면 고민만 많이 하다가 구체적 성과 없이 사라질 수도 있다고 말하는 이들도 있다.

여전히 와닿지 않는 창조경제. 지역 특성을 살린 창조적 새 먹거리로 살아남을지 아니면 빛 좋은 개살구처럼 기업의 또 다른 사회공헌 활동으로 남을지 올 한해 어떤 모습을 갖출지에 달려 있다.

(미래경제 / 김석 기자)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석 산업경제부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