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고령화 따른 부양 부담 증가 영향…2030년 21위 까지 하락

우리나라의 인구경쟁력 전망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하위권에 속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11일 ‘인구경쟁력의 국제 비교와 정책과제’ 보고서에서 OECD 29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인구구조 변화가 경제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한 인구경쟁력 지수를 산출해 비교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인구경쟁력 순위는 2010년 17위(0.380)에서 2020년 16위(0.460)로 올라선 뒤 2030년 21위(0.414)로 추락한다.

인구경쟁력 지수가 1에 가까울수록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과 사회복지 수준을 달성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는 저출산 현상이 지속하는 가운데 2020년 이후에 인구구조가 가파르게 고령화되면서 경제활력이 떨어지고 부양 부담이 커지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한국과 비슷한 처지인 일본의 순위는 2010년 18위(0.372)에서 2020년 22위(0.407)로 하락한 뒤 2030년 한국보다 한 계단 높은 20위(0.420)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2030년 기준 인구경쟁력 1위는 이스라엘(0.607)이 차지했고 미국, 아일랜드, 호주, 스위스, 캐나다 순으로 2∼6위를 기록했다.

또한 노동시장에서 취업자의 고령화와 신규 진입 인력의 정체가 맞물리며서 한국의 경제활력 경쟁력 지수는 2010년 14위에서 2020년 21위, 2030년 23위로 하락한다.

한국의 사회활력 경쟁력 지수는 2010년 17위에서 2020년 4위로 급상승했다가 2030년 21위로 주저앉는다.

경제활력 지수는 미국이, 사회활력 지수는 이스라엘이 각각 1위에 올랐다.

허문구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나라의 경우 인구 고령화의 영향이 경제 영역에 먼저 나타나고 사회 영역으로 확대될 수 있다”며 “인구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강민 기자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강민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