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최고의 인기를 누렸던 도시형생활주택이 과잉공급으로 인해 몰락하고 있다.

정부는 소형가구들의 수요증가로 전세난을 해소하기 위해 원룸스타일과, 기숙사 형태 등으로 인허가를 내주는 도시형 생활주택 제도를 지난 2009년부터 도입‧시작했다.

그 결과 2009년 1700가구에서 2011년에는 8만4000가구, 2012년에는 12만4000가구까지 급증했다. 그러나 단기간에 공급이 증가하면서 여러 가지 부작용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특히 약 23만 가구의 총 공급량 속에서 원룸 형태의 공급이 전체비율에서 99%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로 떠올랐다.

초기엔 신규형태로의 공급이 시작되고 기존 노후화된 원룸 임차인들의 수요가 폭발적이라 신규 공급을 하는 곳마다 성황리에 끝나 투자쪽의 블루칩으로 떠올랐다. 하지만 과유불급이라는 말처럼 수요예측에 실패하여 우후죽순처럼 늘어나 과일공급이 되어 버렸고 이에 준하여 여기저기서 미분양이 증가하게 됐다.

전세난을 해소하기 위하여 각종 주차 관련법을 완화하여 2가구당 1대꼴로 주차공간을 제공했다. 그럼에도 주차공간의 부족으로 사람들은 서서히 불편함을 호소하면서 오피스텔로 눈을 돌리고 있다.

더욱이 현재까지 공급된 도시형 생활 주택의 경우 대부분이 원룸형태로 공급되어 신혼부부들이 거주하기에는 좁고 3인 이상 가족이 거주하기에도 공간이 너무 협소하여 결국 자취생들이나 홀로 거주하는 직장인들 위주의 임대수익용 주거공간으로 변하게 됐다.

특히 사업성과 수익성이 악화되는 시기와 맞물려 사업인허가 마저 감소추세에 있다. 이는 투자자의 매력감소로 미분양이 속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 주택의 투자방법과는 다르게 도시형 생활주택은 시세 차익을 바라고 투자하는 상품이 아니라 철저하게 임대수익을 바라봐야 하는 상품인데 지금은 공급당시의 수익률을 기대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고 볼 수 있다.

더욱이 도시형 생활주택의 사업기간은 대략 1년에서 최대 1년6개월이 소요되는 만큼 준공시점이 점화된 2012년과 2013년이 도시형 생활주택 공급의 정점을 찍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기덕 기자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기덕 건설부동산 칼럼리스트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