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희 산업경제팀 차장.
김대희 산업경제팀 차장.

[미래경제 김대희 기자] 최근 가상화폐시장에서 가장 큰 이슈는 한국산 가상화폐 루나와 테라USD(UST)의 대폭락 사태다. 최근 99% 이상 폭락하면서 전 세계 가상화폐 시장을 뒤흔들어 가상화폐 시장이 불안감에 휩싸이고 있다.

루나와 테라는 애플 엔지니어 출신인 30살 권도형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블록체인 기업 ‘테라폼랩스’가 발행하는 가상화폐로 테라UDS(UST)는 코인 1개당 가치가 1달러에 연동되도록 설계됐다. 테라 KRT는 원화에 연동된다.

하지만 최근 테라 시세가 1달러 아래로 내려가며 자매 코인인 루나가 급락하고 이에 테라가 또 하락하는 악순환으로 대폭락 사태가 발생하게 됐다.

이와 관련해 금융당국이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들에 대한 긴급 점검에 나섰지만 감독 및 제재할 법적 권한은 없다.

가상자산 업계 등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최근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들에 루나와 관련한 거래량과 종가, 루나와 테라를 보유한 투자자 수, 금액별 인원수, 100만원 이상 고액 투자자 수에 대한 현황 파악을 요청했다.

아울러 루나 사태에 대한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들의 대응책과 조치, 거래소들이 판단하는 하락 원인에 대한 자료도 요청했다.

앞서 이달 1일까지만 해도 국내외에서 10만원대에 거래되던 루나는 6일 즈음부터 떨어지다 9∼10일 99% 넘게 폭락하며 이날 오후 1원 수준에 머물렀다.

더욱이 전 세계에서 지난 일주일 사이 사라진 루나와 테라의 시가총액만 약 450억달러(약 57조7800억원)에 달하고 국내 피해자는 20만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특히 이번 루나 사태와 관련해 금융당국은 국내 거래소들이 적절한 대응과 조치를 했는지 주목하고 있다.

세계 최대 암호화폐거래소 바이낸스가 먼저 상장폐지를 결정하자 국내 거래소들도 잇달아 루나와 테라를 투자 유의 종목으로 지정하고 상장폐지에 나섰다. 하지만 거래소마다 대응과 시점이 달라 투자자 보호 장치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무엇보다 이 같은 거래소들의 대응에 일각에서는 거래소들이 투자자 보호보다 수수료 수익에만 치중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루나 거래가 급증하면서 수수료 수익도 급증해 업비트의 경우 지난 10∼13일 투자자들로부터 받은 수수료만 99억원으로 100억원에 달할 정도였다.

업비트는 국내 거래소 중 유의 종목 지정을 가장 늦게 했고 지정 후에도 입출금 거래를 중단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금융당국의 역할론도 더 거세지고 있다.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들의 투자자 보호 강화와 디지털자산 기본법 제정에 대한 금융당국의 빠른 움직임과 결정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대희 금융부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