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책임 및 역할은 통화정책에만 머물 수 없어”

21일 오후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 컨벤션홀에서 열린 이창용 한국은행 신임 총재 취임식에서 이 총재가 취임사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21일 오후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 컨벤션홀에서 열린 이창용 한국은행 신임 총재 취임식에서 이 총재가 취임사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미래경제 김대희 기자] 이창용 신임 한국은행 총재는 “지금 한국 경제는 대전환의 기로에 서 있는 예측하기 어려운 시기”라고 밝혔다.

21일 취임사에서 그는 “디지털 경제 전환과 더불어 세계화 후퇴 흐름이 코로나 이후 뉴노멀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커졌다. 신기술 확보 경쟁, 지정학적 경제 블록화 등으로 국가 간 갈등이 심해지고 정치·경제·안보 등 이슈도 연계되면서 국제정세는 더 복잡해질 것”이라고 한국 경제의 현실을 진단했다.

이 총재는 “이런 갈림길에서 올바른 선택을 위해 경제정책의 프레임(틀)을 과감히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민간 주도로 질적 성장을 도모하고 소수의 산업과 국가로 집중된 수출·공급망도 다변화하는 등의 구조 개혁을 통해 자원 재배분 노력을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로는 양극화와 가계·정부 부채를 꼽았다.

이 총재는 “지식 집약 산업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소득 불평등이 확대되고 인구 고령화로 청년 실업과 노인 빈곤, 지역 간 불균형 문제도 커지고 있다”며 “지나친 양극화는 사회적 갈등을 키워 성장 잠재력을 훼손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부채 문제에 대해서는 부채의 지속적 확대가 자칫 붕괴로 이어지면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초래한다는 점을 과거 경험으로 알고 있다며 거시경제 안정을 추구하는 한은은 부채 연착륙에 관심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한은의 가장 큰 임무가 거시경제 안정을 도모해 국민의 신뢰를 얻는 것이지만 우리 경제가 당면한 중장기적 도전을 생각할 때 우리의 책임이 통화정책의 테두리에만 머무를 수 없다”고 말했다.

통화정책 방향과 관련해서는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와 미국의 예상보다 빠른 통화정책 정상화,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른 중국 경기둔화 가능성 등이 통화정책의 어려움을 가중하고 있다”며 “성장과 물가 간 상충관계(trade-off)가 통화정책을 더욱 제약하는 상황인 만큼 정교하게 균형을 잡아 정책을 운용할 때”라고 밝혔다.

아울러 이 총재는 한은 직원들에게 전문성 공유, 외부와 소통, 글로벌 시각 등을 당부했으며 직원들의 처우 개선도 약속했다.

한편 이 총재는 이날 오전 문재인 대통령으로부터 임명장을 받고 오후 공식 취임했으며 임기는 2026년 4월 20일까지 4년이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대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