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상승 까지 겹쳐 원재료 구입 부담 1년 새 5조원 급증

LG에너지솔루션ㆍ삼성SDIㆍSK이노베이션 국내 배터리 3사 . [PG=연합뉴스] ⓜ
LG에너지솔루션ㆍ삼성SDIㆍSK이노베이션 국내 배터리 3사 . [PG=연합뉴스] ⓜ

[미래경제 한우영 기자]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업계가 리튬 니켈 등 광물값 폭등과 함께 원·달러 환율까지 오르면서 원가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11일 국내 배터리 및 소재사 다섯 곳의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원재료 구입액은 20조5억원에 달했다. 전년(14조8873억원) 대비 34.3% 급증했다. 2019년과 2018년은 각각 10조3112억원, 9조73억원이었다.

원재료 구입 비용이 급증한 것은 배터리 수요 확대에 따라 생산량이 증가한 영향도 있지만 가장 큰 원인은 리튬과 니켈 등 광물값이 급등했기 때문이다.

양극재의 핵심 원료인 리튬 가격은 2020년 1월 ㎏당 38.5위안에서 작년 1월 298.5위안으로 치솟았다. 지난 8일 기준 리튬 가격은 457.5위안으로 2년 새 12배 급등했다.

특히 양극재의 핵심 원료인 리튬의 국제가격은 미국 달러가 아니라 중국 화폐단위인 ‘위안’으로 책정된다.

세계 리튬 매장량의 60%가 남미의 볼리비아, 칠레, 아르헨티나 염호(소금호수) 등 ‘리튬 삼각지’에 몰려 있지만 수산화리튬, 탄산리튬 등 2차전지에 쓰이는 리튬 화합물 1위 생산 국가는 중국이다. 중국 광물업체들이 일찍부터 남미와 호주에서 리튬을 대거 들여온 뒤 1차 가공을 거쳐 화합물을 생산하고 있다. 리튬 매장량에선 5~6%에 불과한 중국이 가격 측면에서는 10배 이상의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세계 리튬 공급망을 뒤흔들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중국 기업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거나 해외에 공장을 지으며 공급 리스크를 최대한 줄이고 있다. 포스코케미칼은 중국에서 양극재(절강포화), 전구체(절강화포) 생산법인을 운영 중이다. 

자원 개발에 직접 나서기도 한다. 포스코그룹은 지난 3월 아르헨티나 염호 리튬 상용화 공장 건설에 착수했다. LG화학도 해외 광산에 대한 지분 투자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LG화학은 이달 중국 최대 코발트 생산업체 화유코발트와 국내에 세우기로 한 합작법인(JV) 지분율도 확정할 계획이다.

국내 기업들은 광물값 폭등에 대비해 연구개발(R&D) 투자도 대폭 확대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배터리 빅3와 에코프로비엠 포스코케미칼 등 소재 양강업체의 지난해 연구개발비는 1조9531억원으로, 전년(1조1362억원) 대비 71.9% 급증했다. 직전연도 연구개발비 증가율(17.2%)에 비해 네 배가량 늘었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우영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