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 대한 관심 높아

▲ 카이스트 연구진이 구글 글래스보다 30배 빠르고 3배 이상 길게 쓸 수 있는 K-글래스를 개발했다.(사진=KAIST)

국내 연구팀이 구글 안경보다 속도가 30배 빠른 증강현실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유회준 교수 연구팀은 증강현실 전용 프로세서가 내장된 고성능 초저전력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HMD) '케이 글래스'(K-Glass)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구글이 2012년 5월 증강현실을 위한 '프로젝트 글래스'(Project Glass)를 개발해 날씨, 길 안내, 지도 보기, 사진 및 동영상 촬영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에 개발한 케이 글래스는 연구팀이 직접 전용 프로세서를 개발해 기존 상용칩을 활용한 구글 글래스보다 데이터 처리속도가 30배 이상 빠르고 사용시간은 3배 이상 길어 증강현실 시대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케이글래스는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한다. 증강현실이란 현실 세계를 바탕으로 가상 미디어 콘텐츠를 결합해 현실 환경에 유용한 정보를 추가로 제공하거나 콘텐츠를 즐기는 다양한 방법을 개발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가상현실을 이용한 대표적인 제품이 바로 구글 글래스다. 그러나 구글 글래스는 바코드 같은 표식을 인식해 해당 물체에 가상 콘텐츠를 첨가하는 방식으로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때문에 표식을 설치하기 힘든 야외에는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이 개발한 전용 프로세서는 인간 뇌의 시각 집중 모델(Visual Attention Model)에서 영감을 얻어 저전력•고성능을 동시에 달성했다.

인간의 뇌는 화면에서 의미 있고 중요한 부분에만 집중하고 무의미한 영역은 분리해낸다는 '시각 집중 모델'을 이용해 불필요한 연산을 제거하고 증강현실 알고리즘의 연산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였다.

또한 연구팀은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뉴런의 신경망'을 모방한 네트워크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프로세서 내부에서 데이터가 활발하게 돌아다니다가 데이터 쏠림현상에 의해 전송에 병목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다.

이런 이유로 연구팀은 뉴런의 신경망 구조를 활용해 프로세서 내 데이터 전송 및 네트워크 병목현상을 효과적으로 극복했다.

유회준 교수는 "스마트폰의 뒤를 이을 차세대 디바이스로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케이글래스는 초저전력으로도 구글 안경의 낮은 컴퓨터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장해순 기자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장해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