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F·채용비리 등 연이은 악재 터져…주가 2014년 상장 이후 최저수준

지난해부터 이어진 DLF사태와 채용비리, 최근 불거진 비밀번호 무단 변경 등 연이은 악재에 시달리고 있는 우리금융지주 주가가 1만원 밑으로 떨어졌다. / 서울 중구 회현동2가 우리은행 본점. [사진=미래경제 DB]

[미래경제 김석 기자] 지난해부터 이어진 DLF사태와 채용비리, 최근 불거진 비밀번호 무단 변경 등 연이은 악재에 시달리고 있는 우리금융지주 주가가 1만원 밑으로 떨어졌다. 이에 따라 정부의 우리금융 민영화 작업에도 차질을 빚어질 전망이다.

21일 종가기준 우리금융지주 주가는 9810원으로 마감했다. 우리금융 주가가 1만원 이하로 떨어진 건 2014년 상장(당시 우리은행) 이후 처음이다. 주가가 급락하면서 예금보험공사가 들고 있는 우리금융 지분 17.25%의 매각 작업에도 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가 운영하는 공적자금관리위원회(이하 공자위)는 2022년까지 두세 차례에 걸쳐 남아 있는 우리금융 지분을 분산 매각하겠다고 지난해 발표한 바 있다.

1차 매각은 올해 상반기 중 완료하는 것이 당초 계획이었다. 그러나 해외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 채용비리 등 각종 악재가 잇달아 터지면서 우리금융 주가는 12월 말 이후 꾸준히 하락세를 보였다. 

주가가 지난해 매각 로드맵을 제시할 당시 예상 가능했던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서 금융위와 예보의 고민은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2020년 금융위 소관 예산안·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한 국회 정무위원회 검토보고서에 따르면 정부는 우리금융 지분 매각으로 국고로 유입될 수입을 산정하면서 주가를 주당 1만6181원으로 명시했다. 이는 2017년 4월~2019년 3월 거래량 가중 평균 주가다. 현재 주가와 주당 6000원 이상의 차이가 있다. 

공자위는 ‘금융지주회사법’에 근거해 우리금융 보유 주식 처분의 3대 원칙으로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빠른 민영화, 금융산업의 바람직한 발전 등을 제시한 바 있다.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라는 원칙 때문에 팔려는 시점에 주가가 감수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면 추후 ‘책임 추궁’을 피할 수 없다. 

일각에서는 적정 주가를 기다리다 보면 빠른 민영화라는 원칙을 달성하지 못하고, 이는 금융산업 발전 면에서도 좋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전날 국회 정무위 전체회의에서 "지분을 빨리 매각해서 다른 시중은행과 경쟁할 수 있게 해야 한다"면서도 "다만 현재 시장 상황이 어려워서 고민이 된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금융위는 이달 24일 공자위 회의를 개최한다. 우리금융 지분 매각 대책에 대한 논의가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석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