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희 산업경제팀 차장.

[미래경제 김대희 기자] 최근 경기침체에 ‘코로나19’라는 초대형 악재까지 겹치면서 국내 경기 상황이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확진 환자가 왔다간 곳이면 임시 휴업을 하고 소독과 방역을 끝내고 문을 열어봤자 고객들의 발길이 뜸해진다.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대형쇼핑몰이나 마트는 물론 관광지 식당들도 손님이 뚝 끊긴 모습이다.

국내 오프라인 유통산업은 2010년 이전까지 호황을 누렸다. 수익성도 좋았으며 영업이익률이 10%에 육박하며 효자산업으로 각광받았다.

이는 경기가 좋았기 때문만은 아니었다. 국내 유통 대기업들이 보여준 상품과 서비스 혁신, 저렴한 가격 등에 소비자들이 몰렸고 마트와 슈퍼가 급성장했다.

하지만 현재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빅3’로 불리는 대형마트와 계열 슈퍼마켓이 최대 위기에 놓였다. 이마트는 지난해 2분기에 이어 4분기에도 영업손실을 기록했고 롯데쇼핑은 최근 마트와 슈퍼를 중심으로 대대적인 점포 구조조정 계획까지 발표했다.

이들 유통사는 지난 2012년 정치권과 정부로부터 전통시장, 골목상권을 위협하는 ‘주범’으로 강력한 규제를 받기 시작했다. 신규출점은 힘들고 영업시간까지 단축하면서 격주 휴무까지 단행됐다.

최근 유통업계에 따르면 월 2회 의무휴업 규제로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마트 3사가 2012년부터 2019년까지 기록한 매출 손실은 약 25조93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규제가 마트와 슈퍼에게 손실을 끼치는 동안 e커머스 시장은 급성장했다. 국내 온라인 쇼핑 시장 규모는 2012년 약 34조원에서 지난해 134조원으로 가파르게 성장했다.

유통업계에선 마트와 슈퍼의 경쟁력이 약해진 한 요인으로 유통규제를 꼽는다. 관련 전문가들도 e커머스와 마트·슈퍼 간에 공정한 경쟁이 이뤄지지 않아 시장 왜곡이 생겼고 전통시장의 경쟁 상대가 e커머스가 된 요즘 의무휴업은 실효성이 없는 불합리한 규제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업계는 물론 소비자들까지 이에 대한 지적이 나오고 있어 다시 한 번 생각해봐야할 시점이 아닌가 한다.

무엇보다 ‘코로나19’로 인해 유통업계는 물론 기타 경제산업 전반에 걸친 악재가 장기전으로 이어질 우려가 높아지면서 유통산업에 관한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적 대안 마련 등 시대에 맞춘 변화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대희 산업경제부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