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F·라임 사태·고객 계좌 비밀번호 도용 등 암초 부딪혀

최근 우리은행은 DLF·라임 사태·고객 계좌 비밀번호 도용 등이 연달아 터지면서 고객 신뢰가 바닥으로 떨어졌다. / 서울 중구 우리금융 본사. [사진=연합뉴스]

[미래경제 윤준호 기자] 우리은행은 DLF·라임 사태·고객 계좌 비밀번호 도용 등이 연달아 터지면서 고객 신뢰가 바닥으로 떨어진 상황이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우리은행은 DLF·라임 펀드 불완전 판매로 인해 투자자들에게 대규모 손실액을 야기시켰고 신규고객 유치를 위해 휴면계좌의 비밀번호를 무단 변경하기까지 했다.

일련의 사건들은 우리은행에게 부메랑이 되어 돌아왔고 고객 신뢰가 무너진 것은 물론 금융당국의 제재를 받을 상황까지 놓여있다.

먼저 DLF사태에 있어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의 입지는 줄어 들었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30일 대규모 원금손실로 논란을 일으켰던 DLF 사태와 관련한 제재심의위원회를 열고 손태승 회장에게 ‘문책 경고’의 중징계 처분을 내렸다.

문책경고는 해임권과 직무정지, 문책경고, 주의적경고, 주의로 나뉘는 5가지 제재 가운데 셋째로 강도 높은 징계다. 문책경고를 받으면 3년 동안 금융권에서 임원으로 일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지난해 12월 사실상 연임이 확정된 손태승 회장의 ‘2기 경영’이 불투명한 상황에 놓였다.

현재 우리금융 이사회가 손태승 회장의 연임에 손을 들어준 만큼 금융당국과의 행정소송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금융권을 뒤엎은 라임사태에 있어서도 우리은행은 자유롭지 못하다. 당시 우리은행은 총 1조638억원을 판매했고 이 과정에서 역시 불완전판매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라임펀드 투자자들은 법무법인을 선임해 우리은행에 대한 손해배상 소송을 이어가고 있다. 향후 손해배상 책임 인정을 위해 정확한 손실률이 집계되면 손해배상 소송이 본격화 될 전망이다.

지난 2018년 우리은행은 자체 감사를 벌여 일부 영업점 직원들이 고객의 인터넷·모바일뱅킹 휴면계좌 비밀번호를 고객 동의 없이 무단으로 바꿔 활성계좌로 전환한 사실을 적발했다. 이후 해당 사건을 금감원에 보고했지만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해당 사건들은 일부 영업점에 대한 이야기이며 은행 차원에서의 내부 통제와는 별개의 문제”라며 “현재 우리은행은 문제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윤준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