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F사태·라임펀드 사태 모두 비껴가…금융 소비자 보호에 ‘주력’

국내 은행권이 DLF(해외금리 연계형 파생결합상품)사태와 라임펀드 사태로 속앓이를 하고 있는 가운데 KB국민은행은 두 사태를 모두 비껴가며 탁월한 리스크 관리로 주목받고 있다. / 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여의도영업부. [사진=연합뉴스]

[미래경제 윤준호 기자] 국내 은행권이 DLF(해외금리 연계형 파생결합상품)사태와 라임펀드 사태로 속앓이를 하고 있는 가운데 KB국민은행은 두 사태를 모두 비껴가며 탁월한 리스크 관리로 주목받고 있다.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은행권은 DLF사태와 라임펀드 사태로 인해 고객들의 신뢰를 잃어가고 있다.

하지만 KB국민은행은 라임펀드 판매에 있어 수익을 창출하고 DLF 판매 승인을 거절하는 등 타 은행과의 다른 행보를 보였다.

DLF사태에 있어 국민은행은 자산관리 상품위원회에서 리스크가 크다는 이유를 근거로 DLF 판매를 거절한 바 있다.

업계에서는 국민은행의 보수적인 자산관리 시스템이 DLF 사태에서 자유롭게 만들었다고 보고 있다.

특히 국민은행은 DLF의 기초자산인 해외금리가 떨어진다는 쪽에 투자하는 ‘역발상 전략’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기도 했다.

실제로 국민은행은 지난해 6~7월 미국 국채 CMS 10년물 등을 기초자산으로 한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 262억원을 판매했다. 후에 기초자산 금리가 하락하면서 수익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라임펀드 사태에 있어서도 국민은행의 결단은 주요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7월 기준 국민은행은 746억원의 라임펀드를 판매했다.

지난해 10월 라임자사운용의 유동성 위기가 닥쳐오자 일부 펀드에 대한 환매 중단을 선언하기도 했다. 현재 금감원은 라임펀드 환매 중단 규모를 1조5587억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국민은행이 같은 해 11월 판매한 라임펀드 상품 모두 수익 상환을 했고 판매분 자체가 현재 문제가 되는 상품이 아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국민은행은 금융 소비자 보호 서비스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은행은 지난해 27일 자산 관리(WM)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투자상품서비스(IPS)본부와 신탁본부를 통합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등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소비자보호총괄책임자(CCO)의 독립성과 금융 소비자 보호 조직 강화를 위해 소비자 보호 전담 본부도 신설하고, ESG 이행 기능 강화를 위해 현 소비자브랜드전략그룹을 ESG 총괄 조직으로 재편했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윤준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