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경제팀 한우영 기자

[미래경제 한우영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해 출시한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팰리세이드가 노조와의 증산 협의를 이루지 못해 구매 예약자 2만명이 넘게 이탈했다는 내용이 알려졌다.

국내외 자동차 판매 침체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인기 차종인 팰리세이드가 수요에 비해 턱없는 공급으로 ‘없어서 못파는 차’가 되면서 사측의 입술은 바짝 말라갔다. 이미 4월에 노조와 증산 합의를 했지만 이마저도 부족해 결국 추가 증산을 요구했다.

하지만 이번엔 팰리세이드를 생산하는 울산 4공장 노조가 증산에 따른 특근일수 감소로 임금이 줄어든다며 반대를 선언했다. 결국 노조 내부에서도 잡음이 끊이지 않다가 최종 증산에 합의했지만 이러한 문제가 또다시 발생할 여지는 얼마든지 있다.

실제로 2017년 6월 소형 SUV인 코나 출시 때도 이같은 문제가 발생한 적 있다. 당시 코나 사전 계약이 2000대에 이를 정도로 인기를 예고했지만 노사가 생산에 필요한 적정 작업자 수 등을 놓고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출시 직전까지 생산에 들어가지 못했다.

업계에서는 신차를 생산하거나 공장별로 생산 물량을 조정하려면 노조 동의를 받아야 한다는 단체협약 규정을 원인으로 꼽고 있다.

현대차는 15년 넘게 신차 생산 인원 배정과 공장별 물량 조절 시 의무적으로 노사공동위원회를 구성해 결정하고 있다. 2003년부터 시행된 단체협약에 따라 노동조합이 사측 결정에 합의해주지 않으면 새로운 차를 만들거나 물량을 조절할 수 없는 구조다. 기아차도 마찬가지다.

BMW나 폭스바겐, 르노, GM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서 이러한 문제는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다. 이들 업체의 경우 공장마다 생산 효율을 따져 가며 생산 물량을 배분하는 것은 일반적인 경영 방식이다.

자동차 시장 환경이 급변하는 만큼 이에 대응하기 위해선 노사가 합리적으로 타협점을 찾을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해묵은 합의 하나 때문에 현대차그룹의 생산 효율성 및 전체 브랜드 이미지에 타격을 받는 다는 사실을 좀 더 인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우영 산업경제부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