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기 수준 2.9% 인상률로 역대 3번째 낮아…노동계 ‘전면 투쟁’ 엄포

박준식 최저임금위원회 위원장 등 공익위원들이 12일 정부세종청사 고용노동부 전원회의장에서 열린 최저임금위원회 13차 전원회의에서 내년도 최저임금 8590원을 결정한 뒤 브리핑을 하고 있다. 최저임금위원회는 사용자위원 안 8590원과 근로자위원 안 8880원을 놓고 투표한 결과 사용자안 15표, 근로자안 11표, 기권 1표로 사용자안을 내년도 최저임금으로 최종 결정했다. (사진=뉴스1)

[미래경제 김대희 기자] 내년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240원(2.9%) 오른 시급 8590원으로 결정됐다.

이번에 확정된 인상률은 외환위기·글로벌 금융위기 등 우리 경제가 심각한 수준을 보여준다. 최저임금의 절대적 금액이 높아진 탓에 인상률 확대에 한계를 보였지만 역대 3번째로 낮은 수준이라는 평가다.

12일 아침 최저임금위원회는 13시간여 회의 끝에 2020년 적용 최저임금을 확정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노동계에서 제시한 최종안 8880원(6.8% 인상)과 경영계 최종안 8590원(2.9% 인상)이 표결에 부쳐져 15 대 11(기권 1)로 경영계안이 채택됐다.

인상률 2.9%는 외환위기가 있었던 1999년도(2.7%)와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닥친 2010년도(2.8%)에 이어 3번째로 낮은 수치다.

이에 따라 최저임금을 적용받는 저임금 노동자들은 내년부터 월급이 5만원가량 인상되는 효과가 난다. 최저임금 시급에 주휴시간을 포함한 근로시간 209시간을 곱하면 월급에 해당하는 월 환산액이 나온다.

작년에서 올해로 넘어오면서는 이러한 저임금 노동자 월급이 약 17만원 오르는 효과가 있어 저임금자 월급 인상 효과가 크게 반감됐다.

노동계에서는 이번 인상을 두고 ‘실질적인 삭감’이라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은 이날 논평을 내고 “최저임금 1만원이라는 시대정신을 외면한 결정을 넘은 경제 공황 상황에서나 있을 법한 실질적인 최저임금 삭감 결정”이라고 혹평했다.

이어 “우리는 문재인 정부가 최저임금의 실질적 삭감에 머무르지 않을 것을 알고 있다”며 “최소한의 기대조차 짓밟힌 분노한 저임금 노동자와 함께 노동개악 분쇄를 위해 총파업을 포함한 전면적인 투쟁을 조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동계에서는 지난해 이뤄진 최저임금 산입범위 확대에 따라 최저임금 인상 효과가 크게 줄었다고 보고 있다. 반면 경영계에서는 주휴수당을 최저임금에 반드시 포함하도록 한 법 개정 탓에 그러한 효과는 상쇄됐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들을 떠나 문 정부의 공약 파기 확정은 노동계의 거센 반발을 불러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문 정부의 임기 마지막 해인 2022년까지 최저임금 1만원을 실현하려면 남은 2년간 약 8%의 인상률을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정부와 여당 안에서 ‘속도조절’ 기류가 이미 자리잡은 터라 지난번과 같은 인상률을 회복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대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