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통합개발담당 신설 및 시스템 부문·PM담당 권한 강화

서울 서초구 양재동 현대자동차그룹 본사. (사진=뉴스1)

[미래경제 한우영 기자] 수소전기차를 중심으로 미래차 산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현대자동차그룹이 급변하는 자동차 시장에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해 연구개발본부 조직 개편에 나섰다.

차량 기본 골격과 콘셉트를 선행 개발하는 '제품통합개발담당'을 신설하는 한편 자동차에 탑재되는 주요 기술 개발을 담당하는 '시스템 부문'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높였다. 제품 개발을 총괄하는 '프로젝트 매니지먼트(PM) 담당' 권한을 강화해 차급·브랜드 간 제품 차별화에 주력한다.

현대차그룹은 9일 PM·설계·전자·차량성능·파워트레인(PT) 등 5개 담당의 병렬 구조였던 연구개발본부의 조직체계를 ▲제품통합개발담당 ▲시스템부문(4개담당) ▲PM담당의 삼각형 구조로 단순화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직개편은 차량 개발의 복잡성을 줄이고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디자인담당과 상용담당은 연구개발본부 내 별도 조직으로 운영된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부터 이 같은 차량개발 철학을 담은 '아키텍처 기반 시스템 조직'(SBO) 체계 개편을 준비해왔다. 제품통합개발담당은 자동차 개발의 초기 단계에서 전체적인 기본 구조를 잡아주고 최종 단계에서 다시 종합적인 차량의 성능 조율을 맡는다. 제품통합개발담당은 차량아키텍처개발센터와 차량성능개발센터로 구성된다.

차량아키텍처개발센터는 차량 개발의 뼈대가 되는 아키텍처 개발 단계부터 시장 요구사항을 반영, 고객이 필요로 하는 기술이 빠르게 적용될 수 있도록 밑그림을 그리는 역할을 한다.

또 새롭게 편성된 차량성능개발센터는 자동차 개발 최종 단계에서 소음·진동(NVH), 안전, 내구, 에어로다이내믹 등 통합적 차량 성능 개발을 지휘해 상품성을 극대화할 예정이다.

시스템 부문은 제품통합개발담당에서 마련한 자동차 개발 기본 콘셉트 안에 담기는 주요 핵심 기술개발을 담당한다.

현대차그룹 연구개발 조직 개편 개요. (현대차그룹 제공)

차량의 기술적 기둥이 되는 핵심 요소인 ▲섀시(현가, 조향, 제동) ▲바디(차체, 내외장) ▲전자 ▲파워트레인 총 4개 담당 체계로 구성되며 각기 독립적인 조직을 구축해 분야별 기술 전문성을 높인다.

특히 4개 시스템 부문은 분산돼 있던 설계·해석·시험 부문을 통합한 '완성형 개발 조직'으로 각각 구성돼 부문별 독립성을 대폭 끌어올리면서 책임을 강화했다.

시스템 부문은 개발된 신기술이 다양한 차종에 빠르게 적용될 수 있도록 부품의 모듈화·표준화 기준을 정립해 구매부터 생산, 협력사까지 이어지는 협업 구조를 다져갈 예정이다.

PM담당은 앞선 두 부문과 협업해 제품개발을 총괄한다. 차량의 기본 콘셉트에 개발된 기술을 차급과 브랜드별로 최적화해 상호 간섭을 막고 차별화된 제품 개발을 책임진다.

PM담당 조직은 기존의 브랜드와 차급 개념이 섞인 '혼합 구조'(제네시스, EV고성능, 소형, 중대형, RV)에서 전 브랜드를 아우르는 '차급 구조' (경형, 소형, 준중형, 중형, 대형 센터)로 개편됐다.

더불어 PM 조직 내에 기존에는 분리돼 있던 '사용성 평가'기능을 배치함으로써 개발 중인 차량을 고객의 입장에서 항시 점검하고 보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외에도 현대차그룹은 가상 공간 시뮬레이션을 강화하기 위해 제품통합개발담당 산하에 버추얼차량개발실을 신설했다.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자율주행 기술 분야 등에서 실물 제작과 주행 시험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여 개발속도를 높이고 품질 안정화에 기여하게 된다.

이와 함께 자율주행, 전동화, 인포테인먼트 분야 역시 지속적으로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해 미래 모빌리티 경쟁에 적극적으로 대응한다.

연구개발본부 알버트 비어만 사장은 "이번 조직 구조 개편으로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와 고객 요구에 빠르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우영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