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전쟁에 ‘불매운동’ 우려…현시점 “영향 제한적으로 타격 적을 것” 판단

일본의 경제 보복으로 한·일 관계가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사진=뉴스1 이은현 디자이너)

[미래경제 김대희 기자] 일본이 강제징용자들의 배상 문제에 대한 조치로 경제 보복을 단행하면서 한·일 관계 또한 더욱 악화되고 있다. 여기에 국내에서는 반일감정이 커지면서 일본산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까지 일어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에 한국에 진출한 일본 기업들은 “제한적 영향일 것”으로 판단하면서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일 관계가 이른 시일 내 회복하면 다행이지만 더 악화한다면 매출 타격은 불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은 한국으로의 수출관리 규정을 개정하고 스마트폰과 TV에 사용되는 반도체 제조 과정에 필요한 3개 품목의 수출 규제를 강화했다. 강제징용자들의 배상 문제에 대한 보복 조치다. 이에 대해 한국 정부는 세계무역기구(WTO) 제소로 맞대응하기로 했다.

한·일 관계가 점차 악화될 조짐에 결국 피해를 입는건 기업들이다. 한국 기업들은 주요 품목 수급 문제로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고 일본 기업들도 수출 감소 등으로 인한 부작용이 적지 않다.

이미 일본 자동차 불매운동과 일본 관광 보이콧 등 ‘맞불 작전’에 대한 주장도 나오고 있다.

실제 청와대 국민청원에 올라온 ‘일본 경제 제재에 대한 정부의 보복 조치를 요청합니다’ 글에는 참여인원이 늘고 있다. 청원의 주요 내용은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 운동 및 일본관광 불매로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카카오톡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일본 기업 불매운동 리스트도 올라왔다. 유니클로를 비롯해 데상트·소니·도요타·혼다 등의 기업이 거론되고 있다.

다만 업계에서는 불매 운동에 대한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소비자들이 제품의 국적보다는 ‘가성비’나 ‘품질’ 등을 더 우선시하고 있어서다. 현재 국내에서 잘 팔리는 일본 제품은 전세계 시장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는 경우가 많다. 과거에도 한일 관계가 나빠졌을 때 불매운동이 나타나기도 했지만 큰 타격을 줄 정도는 아니었다.

실제로 올 상반기 국내 수입자동차 시장에서 일본차의 질주가 이어졌다. 전체 수입차 판매량이 20% 이상 급감한 상황에서도 렉서스의 판매는 오히려 32% 급증했다.

한일 관계 악화에도 일본차 질주는 변화가 없을 것이란 관측이다. 일본산 하이브리드 모델이 수입 친환경차 시장을 장악한데다 유럽의 배출가스 인증 방식 변경으로 유럽 메이커의 신차 출시 지연이 계속 이어질 것이란 이유다.

일본차 한 관계자는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하면서도 “과거와 달리 소비자들의 인식이 변했고 이제는 상품성에 더 가치를 두고 있어 자동차는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과거 불매운동과는 다소 다르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과거에는 정치적인 문제에 국한됐지만 이번에는 일본이 먼저 경제 제재 조치를 취한 만큼 경제적 수단으로 맞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전범기업으로 낙인찍히면 한국 내 이미지 악화는 불가피하다. 무엇보다 일본의 선제적인 경제보복으로 감정이 쌓이다보면 타격이 커질 수도 있을 전망이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대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