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워크레인 노조, 소형 크레인 폐기 촉구…최대 수백억 공사지체 보상금 물수도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 소속 전국 타워크레인 노동자들이 파업에 들어간 4일 한 건설현장에 타워크레인들이 모두 멈춰있다. (사진=뉴스1)

[미래경제 한우영 기자] 국내 건설업계가 타워크레인 노조 파업으로 비상이 걸렸다. 타워크레인은 건축물 골조를 올리는 역할을 한다. 골조가 올라가야 내부 설비 공사를 할 수 있다. 결국 타워크레인이 멈추면 고층 건축물 공사는 '올스톱'인 셈이다.

양대 노총에 속한 타워크레인 노동자들은 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며 4일부터 전면 파업에 들어간다. 양대 노총 타워크레인 노조가 동시 파업을 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파업에 들어가는 건설노조 타워크레인 분과위원회는 사측과 임금·단체협약 교섭을 이루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최근 건설 현장에서 쓰임이 늘어난 소형 타워크레인을 노동자 안전 등을 이유로 사용하지 말 것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이 외에도 임금 7% 인상, 하계휴가 탄력운영, 현장 휴게실 설치조건 완화 등을 요구하는 중이다.

양대 노총은 사측이 임단협 체결에 전향적으로 나오지 않는 이상, 또 정부가 확실한 소형 타워크레인 대책을 내놓기 전까지는 전국 모든 타워크레인이 운행을 멈출 것이라고 경고했다.

업계에 따르면 전국 건설현장에서 가동하는 대형 타워크레인 3000대 가운데 2500대 정도가 멈출 것으로 예측된다.

3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사랑채 앞에서 열린 민주노총 건설노조 타워크레인 노동자 총파업 투쟁 선포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총파업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뉴스1)

불똥은 건설사에 튀고 있다. 대체 인력과 이동식 크레인 등 장비를 구해오는 비용이 들고, 공사가 늦춰지면 건설사는 적게는 수십억원에서 많게는 수백억원대 지체 보상금을 물게 될 가능성이 커진다.

아파트의 경우 지체 보상금은 곧 수익성 악화로 연결되기 때문에 건설사들은 남은 공사 기간에 공사를 마무리해야 한다. 건설사 입장에서는 보상금을 내지 않기 위해 공사 속도를 높이게 되고 부실 공사 가능성이 커진다. 그 피해는 소비자에게까지 간다.

건설업계에서는 타워크레인 노조가 오랜 기간 지속해온 '갑질'이 소형 크레인의 확산을 부추겼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양대 타워크레인 노조가 건설 현장에서 자기 노조원 고용을 강요하며 공사를 중단시키는 등 사측을 괴롭히자 사측이 해법으로 (비노조원이 조종할 수 있는) 소형 타워크레인을 더 많이 쓰게 됐다는 설명이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우영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