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E 바라카 원전 장기 정비 계약 뺏길판…英원전 수주도 소극적

UAE 바라카 원전. (사진=한국전력 제공)

[미래경제 김석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 6월 19일 고리 원전 1호기 영구 폐쇄와 함께 선 언한 탈원전 정책을 추진한지 2년이 가까이 되면서 해외 건설·정비계약을 한 건도 따내지 못한 것은 물론 단독 낙찰이 유력했던 수주 건도 잇따라 놓치고 있다. 

원전업계는 정부 기조가 바뀌지 않는 한 한국 원전산업의 지속 가능성에 의문을 나타내는 원전 수입국의 시각이 바뀌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UAE 바라카 원전 장기정비계약(LTMA) 수주 과정에서 한국 업체들은 다 다놓은 계약을 뺏길 처지에 놓였다.

LTMA는 바라카 원전 4기의 정비·수리를 맡는 사업이다. 총 2조~3조원 규모다. UAE 측은 당초 한국과 수의계약하려다 2017년 돌연 국제경쟁입찰로 바꿨다. 여기서도 한수원·한전KPS의 ‘팀코리아’가 단독 수주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UAE가 한국에 원전 정비를 맡기는 대신 미국(엑셀론·얼라이드파워) 영국(밥콕) 등에도 하도급 형태로 고루 배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LTMA는 한국수력원자력이 지난 2016년 따낸 9억2000만달러(약 1조원) 규모의 원전 운영지원계약(OSSA)에 이은 대규모 사업이다. 계약 기간은 10~15년으로 금액은 최대 3조원에 달한다. 하지만 5년 단기계약이나 여러 업체 분산 계약이 될 경우 우리나라 수주 금액도 3분의 1로 줄게 된다.

지난해 3월26일 아랍에미리트(UAE)를 공식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한국이 건설한 바라카 원전 1호기 앞에서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왕세제와 대화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페이스북)

무함마드 알하마디 아랍에미리트(UAE) 원자력공사 사장은 올 1월 한국전력과 한국수력원자력에 공식 항의 문서를 발송했다. 한국형 원자로(APR1400)를 적용한 바라카 원전 현장에서 전문 인력을 일방적으로 철수시켰다는 이유다.

한수원은 해외 인력 교대 계획에 따라 150명가량의 직원을 교체했다. 알하마디 사장은 편지에서 "원전 장기정비계약(LTMA) 같은 중요한 협상이 마무리되려는 시점에 사전 통보 없이 인력을 빼갔다는 건 충격적"이라며 "효율적인 노동력을 유지하기로 한 (한수원의) 계약 이행 의지에 의문이 들게 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이뿐만 아니다 한전은 영국 무어사이드 원전 사업에서도 좀처럼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2017년 말 22조원 규모의 영국 무어사이드 원전 사업권을 일본 도시바로부터 인수하는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하지만 영국 정부와 도시바의 협상이 길어지면서 작년 8월 우선협상자 지위를 잃어 수주가 불투명해졌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지속되면서 한전은 지난해 2000억원이 넘는 대규모 영업손실을 기록하기도 했다.

원자력발전소(원전) 이용률 하락에 따른 전력구입비 증가와 연료비 상승 탓에 2012년 이후 6년 만에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탈원전 정책이 지속되면서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의 피해는 더욱 커지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 경남지역본부가 지난 2월, 지역 소재 85개 원전 부품 생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원전 관련 현황 조사를 한 결과, 제조기업의 85.7%가 탈원전 정책으로 경영난에 처했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석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