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삼성, 6개월 장기부분파업…한국GM도 파업 움직임

국내 완성차 업계가 노조와의 마찰로 생산력 저하 등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다. (사진=뉴스1)

[미래경제 한우영 기자] 국내 자동차업계가 또다시 '노조 리스크'에 흔들리고 있다. 한국GM의 경우 신설법인 문제로 노사간 갈등이 벌어지고 있고, 르노삼성자동차는 지난해부터 이어져 온 임단협 협상 실패로 6개월째 부분 파업을 벌이며 매출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GM 노조는 사측의 신설법인 설립과 관련해 이에 반발하고 파업에 나설 채비에 들어갔다. 이 회사 노조는 지난 3일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 신청을 했다. 중노위는 앞으로 10일간 노사 간 조정 절차를 진행한다. 조정이 이뤄지지 않아 중노위가 조정 중지 결정을 내리면 노조는 곧바로 찬반투표를 거쳐 쟁의권을 확보하게 된다.

노조는 올초 분리한 연구개발(R&D) 법인(GM테크니컬센터코리아)에 적용하는 사측의 새 단체협약 요구안에 반발하고 있다. 신설 법인으로 옮긴 직원 3000여 명에게도 기존 단협을 그대로 적용해야 한다는 게 노조의 주장이다. 사측은 기존 생산직 중심으로 짠 단협을 R&D 및 사무직 위주인 신설 법인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완성차 업계 가운데 가장 힘든 곳은 르노삼성자동차다. 르노삼성차 노조는 지난해 10월부터 지금까지 6개월간 기본급 인상 등을 요구하며 부분파업을 벌이고 있다. 파업 횟수만 52차례에 달하고 이에 따른 매출 손실만 2352억원에 달한다.

프랑스 르노 본사와 동맹을 맺은 일본 닛산이 르노삼성 노동조합의 장기 파업을 이유로 올해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로그 위탁생산 물량을 40%가량 줄이면서 직격탄을 맞았다. 앞으로가 더 문제다. 오는 9월 로그 수탁생산 계약이 끝나면 공장 가동률은 50% 밑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현대·기아자동차도 상황은 좋지 않다. 노조측이 향후 정년퇴직자 대체인력을 정규직으로 채워달라는 요구를 앞세우고 있다.

하지만 회사 측은 노조 눈치만 보고 있다. 단협 규정에 따라 신차를 생산하거나 공장별로 생산 물량을 조정하려면 노조 동의를 받아야 하는 구조 탓이다.

최근 대형 SUV 팰리세이드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사측이 한 달 넘게 노조를 설득했다. 지난해 12월부터 판매를 시작한 팰리세이드가 예상보다 인기를 끌자 사측은 노조에 증산을 요구했다. 지난 2월 말 협상을 시작한 노사는 최근에야 증산에 합의했다. 노사는 이달부터 팰리세이드 월 생산량을 6240대에서 8640대로 38.5% 늘리기로 했다.

자동차업계에선 '노조 리스크'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국내 자동차 산업의 역성장이 불가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지난 1분기 국내 자동차 생산량(95만4908대)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우영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