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크 평가 세분화 및 절벽효과 완화 효과

내년부터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은 전례가 있음에도 신용점수 낙폭이 줄어들 전망이다. (사진=뉴스1 이은현 디자이너)

[미래경제 김하은 기자] 내년부터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은 전례가 있음에도 신용점수 하락폭이 줄어들 전망이다.

현재 10등급으로 운영되는 개인신용평가체계는 신용점수제로 단계적으로 전환하게 된다.

27일 금융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개인신용평가체계 종합 개선방안’의 주요 세부방안을 1월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한다.

우선 제2금융권 이용 고객에 대한 차별적 평가가 완화된다.

현재는 제2금융권에서 대출받으면 대출금리나 유형과 관계없이 신용평가(CB)사가 산출하는 신용점수·등급이 큰 폭으로 하락한다.

그러나 앞으로는 대출금리·유형 등 대출 특성을 평가에 반영해 신용위험을 세분화하도록 CB사의 개인신용평가 체계가 개선된다.

다음달 14일부터 저축은행에서 금리 18% 이하의 대출을 받으면 대출금리가 낮을수록 신용점수·등급 하락 폭이 완화되도록 CB사 평가모형이 개선된다. 업권별 신용위험에 차이가 없는 중도금·유가증권 담보대출은 점수 하락폭을 은행권과 동일하게 적용한다. 상호금융·여전·보험업권도 평가모형을 개선해 내년 6월 중 시행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제2금융권 이용자 총 62만명의 신용점수가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저축은행 이용자 28만명은 신용등급으로 0.4등급(점수 25점) 상승하고 이중 12만명은 신용등급으로 1등급 올라갈 것으로 내다봤다.

현행 개인신용평가체계인 신용등급제(1~10등급)는 점수제(1000점 만점)로 전환된다. 리스크 평가를 세분화시키는 한편, 등급 간 '절벽효'를 완화하기 위한 판단에서다.

우선 5개 시중은행에서 내년 1월 중순부터 소비자의 대출한도, 금리 산정 등을 위한 해당 은행의 자체평가 때 CB사의 신용점수가 사용된다.

다만 은행 창구에서의 금융소비자 불편 방지를 위해 여신금융 상품에 대한 고객 상담과 설명에는 신용등급도 사용된다. 이후 2020년 중 모든 금융권에서 점수제를 도입해 신용평가 등 전 과정에서 등급이 아니라 점수를 사용한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하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