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825곳 중 817곳 '손실'…민간 주도 사회적 기업 성공사례도 있어

사회적 기업의 성공적 사례로 꼽히는 모어댄의 컨티뉴 매장. (사진=SK이노베이션 제공)

[미래경제 한우영 기자] 취약계층 일자리나 사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사회적 기업의 절반가량이 매년 영업손실을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부 사회적 기업들이 정부의 지원금을 부정 수급해 받아 챙기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16일 고용노동부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전현희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사회적 기업 영업손익 현황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전체 사회적 기업 1641곳 가운데 818곳(49.5%)이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1825곳 중 817곳(44.8%)이 적자를 봤다.

여기에 일부 사회적 기업들이 정부로부터 부정수급을 받고 있는 것도 늘어나고 있다. 최근 5년간 사회적 기업의 부정수급액은 38억원을 넘어섰다. 국회 환노위 송옥주 의원(민주당)이 고용부에서 제출받은 '사회적 기업 부정수급 현황'에 따르면 2013~2017년 5년간 사회적 기업 173곳이 정부 지원금을 부정수급했다가 적발됐다.

정부는 취약계층에 일자리나 사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사회적 목적을 수행해 수익을 창출하는 영리·비영리 조직을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하고 있다.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기업육성법이 제정된 2007년 55곳을 시작으로 매년 늘어나 지난달에는 2030곳에 달했다. 사회적 기업이 고용하고 있는 근로자는 4만4250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 장애인, 고령자,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은 2만6970명(60.9%)이다.

일각에서는 취약계층 일자리 확대라는 취지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기업이 지속 가능하려면 재정 지원 일변도의 지원 방식에서 벗어나 자생력을 키워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SK그룹 등 일부 기업에선 직접적으로 사회적 기업을 발굴해 지원해주는 사업을 지속해오고 있다.

대표적으로 SK이노베이션의 경우 자동차 폐가죽을 활용한 가방 제조업체 모어댄이나 전주천년누리전주제과 등 사회적 기업 지원에 나서고 있다.

특히 모어댄은 지난 문재인 대통령의 프랑스 국빈 방문 당시 동행해 사회적 기업 대표로 성과를 공유하면서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SK이노베이션은 자체 심의 기구를 통해 사회적 기업의 지속 가능성에 대해 평가하고 마케팅 등 주요 활동을 지원 하는 등 사회적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사회적 기업의 경우 단순한 자금 지원에 그칠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이 가장 중요하다"며 "성장을 위한 다양한 후속 조치 등이 전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우영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