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회장·행장 겸직 옹호…M&A 등 사업다각화엔 난항

내년 1월 지주사 전환을 앞둔 우리은행의 행보를 두고 금융당국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사진=뉴스1)

[미래경제 김하은 기자] 내년 1월 지주사 전환을 앞둔 우리은행의 행보를 두고 금융당국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지난 15일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정부가 (은행)지분 18%를 갖고 있는 만큼 지배구조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선언한 만큼 관련업계에선 우리은행의 지배구조와 M&A(인수합병)를 두고 다양한 추측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 지주사 전환 인가안이 다음 달 7일 예정된 금융위원회 정례회의에 상정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우리은행은 오는 26일 이사회를 열고 지주사 지배구조를 논의할 계획이다.

우리은행의 지주사 전환에 따른 지배구조 핵심은 회장과 행장의 겸직 혹은 분리될 가능성이다.

지주사 전환 후 조직을 안정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겸직 체제가 유리할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지만, 겸임을 반대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겸직 체제를 할 경우 은행에 중점을 둘 수밖에 없어 증권, 보험사 인수합병(M&A) 등 사업다각화를 모색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 때문이다. 실제 신한·하나금융 등 시중 금융지주사와 BNK·JB 등 지방 금융지주사 모두 분리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다만, 우리은행 노조를 중심으로 내부에서도 겸임을 밀어주고 있는 분위기를 감안하면 겸직이 효율적일 것이라는 게 업계 분석이다.

이에 지주사 전환 후 당분간 겸직 체제로 조직을 이끌다 M&A 등으로 몸집이 키워진 뒤 분리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다만 우리은행의 지배구조를 두고 금융당국의 관심이 커진 상황인 만큼 정부의 의중도 무시할 순 없다.

정부는 지난 2016년 11월 과점주주들에게 우리은행 지분을 매각했지만, 예금보험공사 지분율은 18.43%로 최대주주다.

매각 당시 정부는 경영권에 개입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고수해오고 있지만, 주주권 행사나 의사표시는 고려해야할 사안으로 봤다.

우리은행 측은 "사외이사들이 지배구조를 두고 다양한 의견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하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