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인사 비리에 이어 댓글 논란 등 시장지배력 문제도 끊임없이 제기

한성숙 네이버 대표가 취임한지 1년이 넘었지만 연이은 논란으로 공정성 및 신뢰도 하락이 지속되고 있다. / 한성숙 네이버 신임 대표가 대표이사 내정 후 첫 공식석상인 지난 2016년 11월 22일 비즈니스 파트너 행사 '네이버 커넥트 2017'(NAVER CONNECT 2017)에서 김상헌 현 대표(오른쪽)의 소개로 기조연설을 위해 무대에 오르고 있다. (사진=뉴스1)

[미래경제 한우영 기자] 한성숙 네이버 대표이사가 취임한지 1년 반이 지났다. 네이버를 기술로 변화시키겠다는 의지를 내세웠지만 네이버 뉴스의 기사배열과 댓글문제가 연이어 터지며, 네이버 플랫폼에 대한 신뢰도와 공정성에는 큰 타격을 입었다.

네이버는 최근 지난달 내부감사를 통해 본사 인사담당 임원과 손자회사 대표를 겸하고 있는 직원이 자녀와 친인척이 계열사에 채용됐으나 이를 보고하지 않는 사실이 확인돼 정직 3개월 및 직위해제 징계를 내린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업계에 따르면 징계 임원은 자신이 대표로 있는 회사에 자녀 및 친인척을 추천 방식으로 채용했지만 이 경우 따로 보고를 해야 하는 사내 규정을 어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한 내부 제보가 이어지자 네이버는 감사에 착수, 문제를 파악한 것으로 확인됐다.

네이버는 지난해 9월에도 법조인 자녀에게 인턴십 특혜를 제공해 논란이 된바 있다. 2015년 진경준 전 검사장 딸에게 비공식적인 방법으로 인턴십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같은해 서울고법 부장판사 아들에게도 비슷한 특혜를 제공한 것으로 드러나 한성숙 대표가 직접 사과를 하고 사태 수습에 나서기도 했다.

하지만 내부 프로세스 강화에 불구하고 1년만에 같은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채용 공정성에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됐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가 지난 5월 9일 오전 서울 강남구 역삼동 네이버파트너스퀘어에서 열린 네이버 뉴스 및 댓글 개선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취재진의 플래쉬 세례에 눈을 가리고 있다. (사진=뉴스1)

우월적 지위 사업자에 따른 정부의 규제 강화도 지속 되고 있다.

이미 검색, 광고, 온라인 쇼핑 등에서 정부 관리를 받고 있는 네이버는 새로운 먹거리 시장으로 설정한 동영상과 관련해서도 지난 7월 공정위 현장 조사를 받았다. 네이버는 낮은 시장 점유율(2%)을 이유로 억울함을 호소했지만 공정위는 동영상 검색 시장에서 자사 콘텐츠를 우선 노출한 혐의를 면밀히 살핀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의 기사배열과 댓글 관리를 둘러싼 이용자들의 비난은 네이버 플랫폼에 대한 신뢰를 추락시키는 요인도 여전하다.

드루킹 댓글 조작 논란 사태로 특검의 압수수색을 받는 등 여파도 여전하다. 특히 특검팀은 네이버 등이 댓글 및 공감 수 조작에 매크로가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암묵적으로 방관한 것은 아닌지 의심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우영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