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열티 인하 협상도 진행…업종별 차등임금제 도입 재논의 주장

지난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회관 기자실에서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 회원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지원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사진=뉴스1)

[미래경제 김대희 기자] 내년 최저임금과 관련해 전국 7만 개 편의점 동시 휴점이라는 집단행동도 불사하겠다고 선언한 편의점주들이 ‘최저임금 5% 이상의 인상은 수용할 수 없다’ 또 다시 강한 모습을 보이고 나섰다.

내년 최저임금에 대해 노동계는 43.3% 오른 1만790원을, 경영계는 7530원 동결을 제시하고 있다. 최저임금위원회 안팎에서는 내년 최저임금 인상률이 10% 내외로 결정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예상대로 인상률이 결정될 경우 편의점주들은 집단행동 수순에 돌입할 전망이다.

특히 편의점주들은 내년도 최저임금결정 이후 가맹본부에 내고 있는 로열티를 낮추기 위한 협상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CU, GS25, 세븐일레븐, 이마트24 등의 점주들로 구성된 전편협은 업종별 차등임금제 도입도 재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점주들은 근로기준법의 5인 미만 사업장 확대 추진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만약 노동계 주장이 관철돼 근로기준법이 확대 적용되면 심야영업을 하고 있는 편의점들은 밤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6시까지 야간 수당을 1.5배 늘려줘야 한다.

더욱이 편의점주들이 최저임금인상 억제 요구에 이어 편의점 본사에 내고 있는 로열티를 낮추기 위한 집단행동을 예고해 또 다른 후폭풍이 전망됐다.

협회는 편의점주들이 최저임금인상에 따른 인건비뿐만 아니라 본사 간 과다한 출점경쟁에 따른 수익성 저하, 임차료 등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다고 하소연한다.

전편협이 추산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편의점 점주들의 평균 수익은 195만5000원 선이었다. 하지만 올해 최저임금이 16.4% 인상되면서 가맹점주 몫의 수익은 130만2000원으로 대폭 감소했다.

브랜드 편의점은 본사와 점주들이 계약관계에 따라 수익을 나누는데 적게는 매출이익금의 20%, 많게는 50%를 본사가 로열티 명목으로 가져간다. 점주는 본사 몫을 제외한 수익에서 직원 급여, 점포임차료를 비롯해 통신비, 수도전기세, 제휴서비스 수수료, 수선비, 오물수거료 등 각종 영업비용까지 부담해야 한다.

임차료는 입지에 따라 다르다. 하지만 업계는 평균 월 200만원(26%) 선의 임차료와 120만원(12%)의 영업비용을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만약 노동계 주장처럼 내년 시급이 1만790원으로 오르게 되면 편의점 점주는 현재 아르바이트 직원 1인 당 월 144만원인 인건비를 내년부터 62만원 오른 206만원을 부담해야 한다. 이렇게 되면 점주들의 월수익은 70만원이 채 안 된다.

국내 편의점 시장은 백화점, 마트, 수퍼 등 오프라인 유통이 고전하고 있는 것과 달리 출점경쟁에 불이 붙으며 외형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한국편의점산업협회에 따르면 편의점 점포수는 2015년부터 3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률을 이어가고 있다.

2017년 말 편의점 점포수는 3만6823개로 전년보다 12.9% 늘었고 올해 6월 말 현재는 4만1000개로 추산된다. 이처럼 업계의 출점경쟁 과열로 편의점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나면서 수익성은 악화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15년 4억5099만원이었던 편의점 점포당 연평균 매출액은 2016년에는 4억2799만원으로 5.4% 감소했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대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