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근시간 줄고 유연근무제 등 본격 시행…생산성 저하 등 어려움 호소

애매한 법 기준으로 잡음을 일으켰던 ‘주 52시간 근무제’가 본격 시행된 가운데 300인 이상 규모가 있는 중견기업들은 새로운 근무제 도입 등을 통해 대체로 빠르게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최진모 디자이너)

[미래경제 김대희 기자] 애매한 법 기준으로 잡음을 일으켰던 ‘주 52시간 근무제’가 본격 시행된 가운데 300인 이상 규모가 있는 중견기업들은 새로운 근무제 도입 등을 통해 대체로 빠르게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00인 이하 중소기업들은 당장 법 적용을 받지 않기 때문에 상황을 지켜보면서도 향후 생산력 저하, 인력난 등에 대해 우려하는 모습이었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일부 중견기업들은 올해 초부터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을 준비해 왔다. 가구업체인 한샘은 오전 8시 출근 오후 6시 퇴근이던 근로시간을 1시간 단축해 오전 8시 출근 오후 5시 퇴근으로 조정했다.

생산성 향상을 위해 오전 10시부터 11시30분까지, 오후 1시 30분부터 3시까지 ‘집중근무제’도 도입했다. 집중 근무제는 정시 퇴근을 지향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이 시간동안에 커피나 흡연, 회의 등은 자제해야 한다. 정시 퇴근을 위해 오후 5시와 5시 30분 두차례에 걸쳐 퇴근 독려도 이뤄진다.

한샘 측은 주 52시간 시행에 앞서 6개월 이상 준비를 해 왔기에 안착되는 분위기로 야근은 거의 사라졌고 임직원 전체 평균 야근이 2월 16시간, 3월 12시간, 4월 10시간 등으로 점차 줄어들고 있다고 전했다.

생활가전업계에서는 코웨이가 탄력근무제와 PC 자동 오프제 등을 시행하고 있다. 직군별 특성에 맞게 탄력적이고 선택적인 근무시간 제도를 도입했다는 설명이다. SK매직은 오전 8시30분 출근, 오후 5시30분 퇴근을 시행 중이다.

300인 미만 중소기업들은 2020년부터 단축근무가 적용될 예정이라 당장 급하지는 않다는 분위기다. 다만 대기업과 중견기업 등이 단축근무를 시행하면서 전체적인 생산성 저하로 이어지지 않을까 걱정하는 모습도 나타나고 있다.

한편 지난 2일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근로시간 단축과 관련, 현장 목소리를 듣고자 방문한 중소기업들에서 비슷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경기도 부천과 시흥에 각각 자리한 에이피엔과 대용산업은 300인 이상 중소기업이다. 이들은 근로시간 단축이 점진적으로 시행됐으면 좋았을 텐데 갑자기 도입돼 힘든 상황이라며 노동시간 단축으로 근로자의 급여가 줄고 이로 인한 이직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대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