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근로시간 단축 기업 112곳 조사…생산현장 근무시간 단축 애로

주 52시간 근무제의 시행이 채 한 달도 남지 않은 가운데 대기업들 절반 이상이 경영실적이 부정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사진=픽사베이)
주 52시간 근무제의 시행이 채 한 달도 남지 않은 가운데 대기업들 절반 이상이 경영실적이 부정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사진=픽사베이)

[미래경제 한우영 기자] 주 52시간 근무제의 시행이 채 한 달도 남지 않은 가운데 대기업들 절반 이상이 경영실적이 부정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 제도로 가장 애로를 많이 겪을 부서로 생산현장인 공장을 꼽았다.

한국경제연구원은 다음 달부터 근로시간을 단축해야 하는 기업 112곳을 상대로 제도 시행에 대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응답한 기업의 55.4%(62곳)는 근로시간 단축이 영업이익 등 전반적인 경영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19.6%(22곳)는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영향이 없다는 응답도 25.0%였다.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애로사항(복수응답)으로는 '근로시간 단축으로 축소된 임금에 대한 노조의 보전 요구'(35.7%), '생산성 향상 과정에서 노사 간 의견 충돌'(35.7%), '종업원 추가고용에 따른 인건비 부담'(29.5%) 등의 순이었다.

또 '계절적 요인 등 외부 수요 변화에 따른 생산조절 능력 저하'(28.6%), '신제품 개발·연구개발 기능 저하'(15.2%), '협력업체 납기 지연에 따른 생산 차질'(10.7%) 등도 애로사항으로 꼽혔다.

근로시간 단축으로 가장 애로를 많이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부서(복수응답)는 72.3%(81곳)가 생산현장인 공장을 꼽았다. 그다음으로는 연구개발 부서(22.3%), 영업 부서(19.6%), 인사 부서(13.4%)의 순이었다.

기업들은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주요 대응계획(복수응답)으로 '생산성 향상 대책 추진'(74.1%)을 1순위에 올렸다. '신규 인력 채용'(27.7%), '일부 업무 외주화'(12.5%), '해외공장 이전 검토'(1.8%)가 뒤를 이었다.

생산성 향상을 주요 대책으로 답한 기업(83곳)에 다시 구체적인 대책을 물은 결과(복수응답) 사무·연구개발 분야에 대해서는 '유연근무시간제 실시'(54.2%), '집중근로시간제 실시'(43.4%), '칼퇴근 문화 정착'(34.9%), '회의시간 축소'(25.3%) 등을 차례로 제시했다.

또 생산현장의 경우 '교대제 개편'(50.6%), '근로시간 유연화'(32.5%), '스마트공장 추진'(31.3%), '인력 전환 배치'(22.9%) 등이 대책으로 꼽혔다.

기업들은 근로시간 단축을 한국 노동시장에 연착륙시키기 위한 제도 보완방안(복수응답)으로 '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기간 연장'(57.1%, 64곳)을 가장 많이 지적했다. 그다음으로는 '근로시간 저축제도 도입'(33.9%), '생산성에 상응하는 임금 체계 구축 지도'(32.1%), '화이트칼라 이그젬션 도입'(19.6%), '연장근로수당 할증률 인하'(13.4%) 등을 꼽았다.

근로시간 저축제란 연장·야간·휴일근로에 대해 임금 지급 대신 유급휴가를 적립해 휴가로 사용하는 것을 일컫는다. 또 화이트칼라 이그젬션 제도는 일정 수준 이상 소득을 받는 관리직·행정직·연구개발 등 전문직·컴퓨터직·외근 영업직에 대해 초과근로수당을 지급하지 않는 제도다.

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기간 연장 요구를 좀 더 세분화해보면 취업규칙에 따른 단위기간은 현행 2주일에서 3개월로 연장하자는 의견(64.1%)이 가장 많았고, 노사 서면합의에 따른 단위기간은 현행 3개월에서 1년으로 연장하자는 의견(75.0%)이 제일 많았다.

근로시간 단축이 노사관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부정적 영향(58.9%), 긍정적 영향(24.1%), 영향 없음(17.0%)을 각각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시간 단축을 지원할 정부의 정책으로는 '신규 고용 근로자에 대한 인건비 일부 지원'(37.5%), '기존 근로자 임금 감소분 일부 보전'(20.5%), '설비투자 융자 지원'(20.5%), '근로시간 유연화 등 컨설팅 지원'(14.3%)을 효과 높은 정책으로 꼽았다.

기업들의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준비 정도는 '현재 준비 완료'가 16.1%, '7월 1일 전(前) 사업장 적용'이 23.2%, '7월 1일까지 완료 예정'이 48.2%, '7월 1일 전 준비 완료 미정'이 8.9%였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우영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