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경제 박시형 기자] 금융기관의 대출이 부동산, 개인사업자에게 쏠려 있어 금융 리스크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8일 한국은행이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 게재한 '최근 금융안정 상황 평가'를 보면 2016년 금융기관의 부동산 익스포저(위험노출액)는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100.4%다. 2010년 이후 32%포인트나 높아졌다.

전체 민간신용 대비 부동산 익스포저도 같은 기간 38.8%에서 51.9%로 확대됐다.

개인사업자 대출은 상호금융(세마을금고 제외)과 카드, 저축은행, 보험사 등 비은행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크게 늘었다.

지난해 3분기말 비은행 금융기관의 개인 사업자 대출은 1년 전에 비해 42.3%나 늘었다.

이는 법인기업대출(17.2%), 가계대출(7.6%)보다 2.5~5.6배 빠른 속도다.

한국은행은 "특정 부문에 대한 대출이 전체 대출 규모보다 지나치게 크거나 증가세가 빠를 경우 시장 금리 상승, 부동산 경기 악화 등에 따라 해당 부문의 부실이 금융기관의 건정성을 훼손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일부 비은행 금융기관이 위험 추구 성향을 확대하는 점도 금융 리스크를 키우는 요인으로 분석됐다.

보험사는 저금리 상황이 길어지자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매도 가능채권 보유를 늘려왔다.

매도가능채권은 금리가 오를 때 채권 가격이 내려 평가손실, 자본감소로 이어져 지급여력(RBC)비율을 떨어뜨린다.

증권사는 우발채무(미래에 우발적 사태가 발생하면 채무가 될 가능성이 있는 채무) 보증을, 신용카드사는 카드론 대출을 늘리고 있다.

한국은행은 경제 회복에 따라 부채 증가세가 조정되지 않은 경우 금융 위험성이 커지고 실물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은행은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정상화로 시장 금리가 빠르게 상승할 경우 가계와 기업, 금융기관의 건전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가계부채 누증은 장기적으로 소비를 억제해 실물 경제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시형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