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특성별 근무 환경 고려해야" 지적도

신세계 그룹은 올 1월 1일부터 ‘주 35시간 근무제’ 시행에 들어갔다. (사진=뉴스1)

[미래경제 한우영 기자] 문재인 정부의 핵심 노동 정책 중 하나인 근로시간 단축제(주당 68시간→52시간)의 7월 시행을 앞두고 기업들이 잇따라 주52시간 근무제 시범 운영에 나서는 등 예행연습에 분주하다.

재계 1위 삼성전자를 시작으로 신세계와 SK하이닉스도 잇따라 주 52시간 근무제 시범 운영을 실시하면서 재계 전반에 근무시간 단축 노력이 확산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근로시간 단축 예비 시행을 가장 먼저 이행한 케이스다. 앞서 삼성전자는 최근 주당 최대 근로시간을 52시간으로 줄이는 '근태 관리 시스템'을 구축·가동했다.

지난해 7월 사업부문을 중심으로 추진했던 근로시간 단축 방침을 전체 임직원으로 확대한 것이다. 당시 삼성전자는 각 사업부문 책임자에게 '주당 근무시간이 52시간을 넘는 직원들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지킬 수 있도록 독려하라'는 권고사항을 지시했다.

신세계 그룹은 올 1월 1일부터 ‘주 35시간 근무제’ 시행에 들어갔다.

신세계그룹 계열사 중에서 노동생산성 향상 방안 마련 작업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이마트다. 이마트는 올해부터 주 35시간 근무제와 관련해 그룹 ‘태스크포스(TF)’팀과는 별도의 TF를 운영하고 있다.

이 TF는 각 사업부별로 단축근무가 제대로 적용되고 있는지 상시 확인하고, 매장 현장에 더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역할을 한다.

SK하이닉스는 지난 23일부터 주 최대 52시간 근무제 시범운영 등 기업문화 '딥체인지' 방향을 공유했다. / 사진 왼쪽이 박성욱 SK하이닉스 부회장. (사진=SK하이닉스 제공)

SK하이닉스는 다음 달부터 주 최대 52시간 근무제 시범운영에 나설 계획이다. 회사는 임직원의 근무시간을 점검한다. 또 정보기술(IT) 시스템 개선, 통근 버스 시간 조정 등도 보완할 계획이다. 아울러 업무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유연근무제를 모든 부서로 확대하기로 했다.

대기업들이 하나둘 근로시간 단축에 나서면서 다른 기업들도 근로시간 단축을 준비하고 있다. 현대차‧LG전자는 물론 주요 분야 대기업들도 비슷한 내용의 시범운영 방안을 준비 중이다.

하지만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할 때 근무시간이 줄어들면서 업무 강도는 더욱 높아지는 등 부작용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만만찮다.

연구개발(R&D)이나 디자인 담당 부서는 업무 특성상 제품 개발 막바지에 일이 몰릴 수밖에 없고, 해당 업무를 다른 사람이 대체하기도 쉽지 않다. 자칫 주 52시간을 지키다 보면 개발 일정에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일감이 몰리는 시기가 정해져 있는 생산현장도 고민이 크다. 예컨대 에어컨의 경우에는 성수기에는 공장을 24시간 풀가동해도 수요를 맞추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자동차업계는 휴일 근로 중복할증이 ‘뜨거운 감자’다. 노동계의 요구대로 통상임금의 200%로 인상되면 비용 부담이 크다는 것이다. 현대차는 현재 휴일근로 수당을 주중 연장근로와 동일하게 통상임금의 150%를 지급하고 있다.

재계는 근로시간 단축의 연착륙을 위해 탄력적 근로시간제 확대 등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윤부근 삼성전자 부회장은 최근 더불어민주당과의 정책 간담회에서 “현재 최대 3개월까지 허용하는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1년으로 확대해달라”고 건의했다. 탄력적 근로시간제는 노사가 합의하면 주 최대 법정 근로시간의 제약을 일정 기간 벗어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다. 1년간 주당 평균 근로시간을 52시간으로 맞추는 것을 조건으로 특정 기간에는 최대 64시간 일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것이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우영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