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정 문화경제팀 기자.

[미래경제 김미정 기자]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한반도 배치에 보복하는 중국의 조치가 국내 유통 및 관광업계뿐만이 아닌 순수예술분야로까지 확대될 조짐이다.

지난해 아트프라이스 리포트에 따르면 중국 미술 시장은 전 세계 미술 시장 규모의 1/3을 차지할 정도로 크다. 특히 중국의 ‘큰 손’들은 자국의 작가 작품을 엄청나게 사들였고 그만큼 가격도 기하급수적으로 높여 놓았다. 이에 한국 작가와 작품을 판매하는데 어려움을 겪어 왔지만 최근 한국화를 중심으로 관심을 받기 시작하면서 예술 영역의 교류도 활발해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미 ‘한한령’과 ‘금한령’으로 대중문화계와 관광업계 등의 타격이 현실로 나타난 가운데 미술계도 이를 피해가지 못할 전망이다.

미술계에 따르면 한중수교 25주년 기념으로 중국 문화부의 후원을 받아 경기도 미술관 등 5개 국공립 미술관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전시’가 열리지 않는다. 중국 측은 “전시를 하기 어렵다”는 뜻을 전했지만 명확한 이유는 밝히지 않았다. 이에 일각에서는 ‘사드 보복’ 영향이 미쳤을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이외에도 중국의 사립미술관도 한국 전시를 예정했지만 무기한 연기하는 등 중국 정부의 움직임에 발맞추는 모습이다. 중국에서 영업 중인 국내 상업화랑도 예외는 아니다. 중국에서 철수하는 등 곤혹을 겪고 있다.

아직 현실적으로 큰 타격을 입지는 않았지만 중국내에서 한국 미술에 대한 관심이 조금씩 커지는 가운데 이러한 사드 영향은 큰 걸림돌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세계 미술계의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인만큼 이 같은 분위기가 지속된다면 한국 미술계에도 큰 타격이 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얼마전 국내 갤러리에 중국 작가들의 전시를 기획한 중국 기획자는 이 같은 사드 영향에 대해 중국현지에서 느끼기도 양국 관계에 문제가 있다며 예술은 이러한 문제를 뛰어넘는다고 생각했다. 그는 전시와 문화 교류를 통해 이런 사태를 완화시키고 서로간의 교류 전시가 더욱 많아져 양국간의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됐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하기도 했다.

다만 중국 예술인들 개개인의 생각보다 중국 정부의 큰 움직임이 미술계에 미치는 파장이 크다는 점이 문제다. 사드 영향으로 인한 ‘한한령’과 ‘금한령’을 내린 중국 정부의 지침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국내의 지속적인 불경기로 미술시장이 움츠려든데다 해외에서 주목받는 미래시장으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으로의 길마저 끊긴다면 국내 미술계는 큰 목표를 상실하면서 더욱 침체될 수 있어 돌파구 마련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미정 문화경제부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