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정 문화경제팀 기자.

[미래경제 김미정 기자] 국내 미술계가 어수선하다. 지속되는 경기불황으로 시장이 침체되고 있는 가운데 천경자 작가에 이어 이우환 작가까지 위작 논란이 일면서 악재가 겹치고 있다. 미술계 관계자들은 경찰과 검찰의 수사 대상이 된다는 것 자체만으로 미술계 신뢰는 이미 땅으로 추락하고 있다고 안타까움을 토로한다.

특히 이우환의 경우 경찰이 위작으로 결론 내린 13점 작품에 대해 작가가 직접 “진품이 맞다”라고 정면 반박하면서 진실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사실 국가 또는 공권력이 예술 특히 미술 분야에 개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시선이 많다. 하지만 미술계에서는 이를 뒷받침할 제대로 된 시스템과 장치가 없는 상황에 대해 자성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알고 보면 국내 미술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김종덕)와 예술경영지원센터(대표 김선영)가 미술시장연구소(소장 서진수) 자료를 통해 지난달 30일 발표한 ‘2015 K-ARTMARKET 미술시장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경매시장 규모는 약 1892억3500만원으로 국내 미술시장 최대 호황기로 꼽히는 2007년(1926억6400만원)에 가까운 수치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위작 논란 등에 시장이 흔들리고 있다. 시장은 커지는데 시스템은 여전히 열악해 이를 받쳐주지 못한다는 이야기다.

미술계 한 관계자는 “국공립박물관에 가짜 작품들이 걸려 있고 유명 경매에서 위작들이 거래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국내에 위작들이 많이 거래되다 보니 속지 않기 위해 아예 외국 작품을 산다는 얘기도 있을 정도라”라고 전했다.

결국에는 우리나라 미술시장의 시스템 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판단으로 풀이된다.

미술의 대중화를 외치던 미술계가 아직도 대중과 함께 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진지하게 생각해 볼 문제다. 여전히 보이지 않는 곳에서 지난 시절의 관행과 흔적들이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는 하나둘씩이라도 바로잡아 가며 제대로 된 시스템을 마련하면서 추락한 신뢰회복에 나서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미정 문화경제부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