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탈북자 13명이 지난 7일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한 후 모처에 도착해 숙소로 걸어들어가고 있다. 통일부는 8일 해외 북한 식당에 근무하던 북한 종업원 13명이 집단 탈북해 지난 7일 서울로 입국했다고 밝혔다. (사진=뉴스1)

(미래경제 김정희 기자) 최근 외교관 가족과 군 고위 장교 등의 탈북 사실이 공개됨에 따라 북한의 중·고위층의 잇단 탈북현상이 이어질지 관심이 고조된다. 앞서 해외 북한식당 종업원 13명도 집단 귀순한 바 있다.

이번 중·고위층들의 탈북은 김정은 체제의 이상징후로 추측할 수 있다.

이와 관련,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 "북한 권력층의 이상 징후의 하나의 표본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날 공개된 북한 외교관 가족이나 북한 정찰총국 소속 대좌의 탈북 후 국내 망명 외에 또 다른 북한 고위층 출신 탈북자가 있는지에 대해선 함구하고 있으나, 정보 소식통들은 아직 공개되지 않은 엘리트나 고위층 출신 탈북자가 더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2000년 첫 남북 정상회담 이후 당시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는 일반 북한 주민들의 탈북 사실에 대해선 확인해 주면서도 고위층 출신 탈북자는 가급적 공개하지 않았다. 남북 당국간 대화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박근혜 정부가 이번 대북 제재 효과를 부각시키기 위해 해외 북한 식당 종업원들의 집단 탈북을 공개하면서 북한 외교관과 북한군 고위 간부 탈북 사실까지 드러나게 된 것이다.

정부는 김정은 체제 출범 후 북한 고위층 출신들이 탈북하고 중산층인 해외 북한 식당 종업원들이 집단 탈북한 점 등을 근거로 북한 내부가 동요하고 있으며 추가 탈북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북한이 지난 해 당창건 70주년 행사에 막대한 자금을 소진한 데 이어 이번 7차 당대회에도 적지 않은 자금이 필요한 상황에 대북제재로 인해 어려움을 겪자 주민들을 압박하면서 추가 탈북 요인이 많아졌다는 것이다.

고위층의 추가 탈북이 일어날 경우 김정은의 권력 체제 안정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북한 사회 전반에 걸쳐 적지 않은 파장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도발 이후 북한에 대해 강경하게 나가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1997년 2월 망명한 황장엽 노동당 비서 이후 북한의 독재체제나 김정일 정권의 붕괴를 전망했었으나, 3대째인 김정은에까지 이어졌다는 점에서 고위층 출신 탈북자로 인해 김정은 정권 자체에 이상이 있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정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